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

[정보]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

by 날고싶은커피향 2018. 1. 27.
반응형

평창올림픽과 관련된 강원도 발전 전략 요약서 입니다.

내용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 from 준일 홍

 

 1.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목 차Ⅰ. 계획 수립의 배경 3Ⅱ. 계획의 기본방향 4 󰊱 계획의 비전과 전략 4 󰊲 동계올림픽의 7대 원칙과 전략 8Ⅲ. 분야별 추진계획 9 󰊱 경제 및 산업계획 9 󰊲 지역개발계획 18 󰊳 환경계획 29 󰊴 관광계획 37 󰊵 문화계획 46 󰊶 복지계획 54 󰊷 휴먼웨어계획 59Ⅳ. 올림픽 사전 및 사후관리계획 68Ⅴ. 계획의 집행 및 관리계획 72 󰊱 올림픽 효율적 조직운영과 지원관리 체계 72 󰊲 효율적 사업추진을 위한 올림픽 거버넌스와 시스템 구축 73 󰊳 투자계획 74 󰊴 재원조달 75 󰊵 관리계획 78Ⅵ. 부록 : 과제 내용 요약 80 ●●1
 2.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Ⅰ 계획 수립의 배경1. 계획 수립의 배경 및 목적 2018평창동계올림픽(이하 평창올림픽) 개최가 확정됨에 따라 강원도 발전이 획 기적이고 급속도로 빨라질 것으로 기대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종합적․체계적인 종합발전방안 수립을 통해 평창 올림픽의 파급효과 극대화 및 지역발전의 전기를 마련할 전략 구상이 필요 평창동계올림픽 7대 원칙(민생, 흑자, 균형, 환경, 평화, 문화, 휴먼웨어) 수립을 통해 올림픽 성공개최와 강원도 발전의 전기를 마련할 구체적 로드맵 제시 필요2. 계획 수립의 성격 및 범위 계획은 평창올림픽의 개최 효과를 강원도 전역으로 확산시키는 전략을 마련하는 것에 초점을 두는 비 법정계획으로 추진 본 계획과 더불어 국토종합계획 등 국가장기발전 구상과 지역발전전략을 연계하 여 국토의 효율적 발전과 지역발전을 동시에 추구하는 국토계획의 하위계획인 「강원도종합계획(2011~2020)」이 법정계획으로 추진. 또한 장기적 강원도 발 전방안을 강구하는 「강원도 2030비전계획」이 비법정계획으로 추진3. 계획의 내용 단계별 목표지표를 설정하여 전략적 과제의 실현 가능성에 중점을 두고 발전전 략을 체계적・입체적으로 제시 평창올림픽 개최 이후 지속발전이 가능한 자족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비전을 담은 계획 수립 접경지역, 폐광지역 등 강원도 전역의 균형발전을 유도하고 개최이후 지속적인 성장동력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발전방안 ●●3
 3.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Ⅱ 계획의 기본방향 󰊱 계획의 비전과 전략 1. 비전과 목표 비 전 “소득 2배, 행복 2배 달성과 지속발전 기반 구축” 목 표 성공올림픽 구현과 인간중심의 가치 실현 민생 흑자 균형 환경 평화 문화 휴먼웨어 올림픽 올림픽 올림픽 올림픽 올림픽 올림픽 올림픽 추 진 전 략 강원도 공간구조를 신발전축 3×4 특화벨트로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지역별 차별화된 미래 첨단 융․복합 기업도시 육성 도시와 농촌, 녹색과 경제가 융합된 명품 공간 창조 강원도의 잠재자원의 고부가 시장가치화 실현 행복․건강이 보장된 양질의 삶의 질 보장 창조적 이머징섹터 기반 실현 2. 계획의 실현 방향 북극항로 및 동북아시대에 부합하는 강원도 인프라 혁신 달성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원도민 의식 혁신 강원도 브랜드 이미지 혁신의 기회 균형발전 및 산업혁신의 기회 4 ●●
 4.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3. 강원도 발전 전략 강원도 위상 증가, 교통인프라 개선, 권역별 특성화 등을 통한 강원도 신발전 전략 수립 강원 신발전축 3×4 특화벨트◦ 춘천, 원주, 강릉을 중심 삼각테크노벨리로 지역특성을 살린 특화벨트 전환 ⇨ 바이오・메디 융복합벨트, 에코・비즈벨트, 환동해자원벨트, DMZ 평화생명 벨트, 글로벌 콘텐츠・물류벨트, 첨단 융복합산업벨트, 녹색자원 에너지 벨트간 중복 으로 컨버전스를 통한 시너지효과 극대화 강원 산업도시(기업중심도시) 건설◦ 지역특성을 살린 경쟁력있는 특화산업 육성, 거점별 기업중심도시로 개편 ⇨ 평화산업도시(접경지역), 남북협력도시(동해안 북부지역), 콘텐츠산업도시(춘천 중심), 레져산업도시(평창・강릉), 줄기물질산업도시(옥계, 동해), 융・복합산업 (원주중심), 에너지・방재산업도시(삼척), 퓨전에너지(폐광지역) ●●5
 5.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이머징섹터의 육성 ◦ 강원도 생태자원과 종다양성, 삶의질 향상 욕구, 지하 및 해양자원, 콘텐츠 연구 기반, 접경지역 등을 활용한 신산업 육성 6 ●●
 6.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강원도 기간인프라 확충 ◦ 강원도의 부족한 기간교통망 확충을 통해 물적, 인적교류 확대3. 강원도 종합발전 계획도 도로 ․ 철도 통합 교통체계 구현, 3×4특화벨트 및 강원산업도시 조성을 통한 블 루오션 ․ 이머징 및 히든섹터 육성 전략 수립 ●●7
 7.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동계올림픽의 7대 원칙과 전략 민생올림픽 : 올림픽 효과가 강원도민이 실질적인 소득향상과 직결되고, 강원도 전역에 확산되는 전략 수립을 통해 소득2배, 행복2배 달성 흑자올림픽 : 성공(레이크폴레시드, 릴레함메르) 및 실패(나가노, 벤쿠버, 알베르 빌) 사례 분석을 통한 성공개최를 위한 전략 수립. 특히 정부 및 강원도의 평창 올림픽시설 사후활용방안 등에 대한 계획수립을 통한 흑자 달성 균형올림픽 : 평창올림픽 특수가 도 전역으로 확산시키는 전략 수립. 특히 접경 지역, 폐광지역 등과 연계된 관광․산업․지역개발 전략 수립 환경올림픽 : 환경훼손 최소화, 에너지 효율적인 시설 도입을 통한 유산으로 남는 친환경올림픽 개최 평화올림픽 : 남북 관계의 진전을 통해 한반도 번영과 균형발전을 이루는 전략 수립 문화올림픽 : 문화예술 및 관광 콘텐츠 발굴․육성을 통해 개최지역 및 한국의 문화 예술 진흥의 계기로 활용 휴먼웨어올림픽 : 글로벌 수준의 시민 역량 강화를 통해 소득증대 및 일자리 창출 등으로 연계되는 전략 수립 8 ●●
 8.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Ⅲ 분야별 추진계획󰊱 경제 및 산업계획1. 현황과 진단 경제・산업 분야가 취약한 구조 ◦ 지난 10년간(‘00~09년) 연평균 2.8%(국가 4.2%) 성장으로 전국 및 동남 벨트와 격차 증가 - 강원도의 총부가가치는 2000년 전국 대비 2.9%(18.1조원)에서 2009년 2.6%(23.3조원)로 감소. 제조업 분야 비중 11.4%(국가 28.4%) ◦ 바이오, 의료기기, 신소재 등 강원도 3대 전략산업의 2009년 총 출하액은 7,000 억원으로 강원도 전체 제조업 출하액의 7.6%로 강원도 산업을 견인하지 못함 - 전략산업 육성에 1.3조원 투자되어 매출액 1.9조원, 기업육성 647개, 고용창 출 10,455명 ◦ 구조적 문제해결을 위해 거점형 산업 육성을 위해 시․군연계형 특성화된 산 업육성 및 제조업 중심의 산업생태계 조성 필요 - 산업간 연계협력 생태계 조성을 통한 제조업 경쟁력 제고 무역장벽과 기후변화로 어려운 농・림・어업 ◦ 대외적인 DDA․FTA 등으로 세계 농산물 시장 통합 가속화 및 기후변화로 인한 국제 곡물가격 상승 예상 ◦ 기후변화와 수자원부족, 어획량 부족 및 어족 변화 등 환경 변화에 따른 생산량 및 가격 변동 심화 ◦ 농산어촌 인구감소 및 고령화에 따른 생산인구 감소 문제 발생 ◦ 웰빙, 친황경 및 명품 농수산물, 농산어촌 체험관광 등 긍정요인 증가 ●●9
 9.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2. 사업계획도 및 계량적 목표 경제 및 산업 주요 사업계획도 경제・산업분야 목표 주요지표명(단위) 2011년 2013년 2015년 2018년 2020년 산업구조 고도화(제조업 비중) 11.4% 13% 15% 20% 25% GRDP 30조(10년) 39조 48조 60조 70조 미래성장동력산업 매출액 - 2천억원 10천억원 40천억원 50천억원 대표주력산업 매출액 20천억원 23천억원 25천억원 38천억원 40천억원 수출실적 16억불 20억불 40억불 60억불 80억불 신재생에너지 비중 11.5% 13% 15.0% 18.0% 20.0% 농・림・어업분야 목표 주요지표명(단위) 2011년 2013년 2015년 2018년 2020년 농가소득(백만원) 35 41 47 50 55 친환경농업실천(%) 7 10 14 16 18 농산물수출(억불) 3.5 5 6 7 8 외국인농촌체험마을(개소) 0 4 10 20 30 농촌관광마을(개소) 110 130 150 170 200 한우1등급 출현율(%) 85 87 88 89 90 산림휴양시설(개소) 53 57 58 61 65 수산물생산(만톤) 6,000 6,500 7,200 7,500 7,800 어가소득(백만원) 37 42 50 68 76 10 ●●
 10.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3. 경제 및 산업분야 Global Top 기능성신소재 클러스터 조성 ◦ 강원도 특화자원을 활용한 4대 원천소재(Mg, Ti, Zr, Li) 생산을 중심으로 POSCO 마그네슘 제련단지를 중심으로 기능성신소재 거점 클러스터 조성 - 강릉 첨단소재융합산업단지, 포한산업과학연구원 강원산업기술연구소, 한국생 산기술연구원 강원본부, 지질자원연구원 해수리튬연구센터와 연계 동해안권 경제자유구역 지정과 육성 ◦ 기존 경제자유구역과 차별화된 “국가 Stem Material 메카”육성 - 4대 소재(Mg, Ti, Zr, Li) 및 페로알로이 분야 국내외 투자유치 - 첨단소재 및 물류의 국제비즈니스 거점전략 마련 및 육성국제비즈니스산업지구 해물금지구 첨단소재융합산업지구 주거교육문화지구 친환경에너지소재지구 ●●11
 11.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바이오메디컬 융복합형 Life/Health Security 산업육성 ◦ 강원도 의료기기, 바이오산업과 거점 IT기업 유치를 통해 Life/Health Security 산업을 육성하여 차세대 강원도 먹거리 창출 및 안전한 평창올림픽 개최 - Life/Health Security 시스템 구축과 기업 육성 및 유치, 비즈니스모델 구축 완벽한 방역체계 확립을 위한 Bio-Security System 구축 ◦ 국가재난형 질병에 완벽한 시스템 구축으로 안전한 먹거리 제공 및 바이오․의 료기기․IT산업이 융합된 전략산업 육성을 통한 고부가가치 창출 - 강원도내 시범모델 구축 및 확대 추진과 거점 기업 유치 추진 응급의료 신인프라 구축사업 개념도 Bio-Security 시스템 구축도 맞춤의료를 위한 Bio Informatics(생명정보) 신산업 창출 ◦ 바이오・의료기기・IT산업이 결합 하여 특화된 질환에 대한 바 이오 인포마틱스 시스템 구축 을 통한 강원도 의료서비스 경 쟁력 강화 ◦ IT인프라 확충, 바이오・의료기 기 산업의 융합을 통한 국제경 쟁력 확보 ◦ 강원도의 차별화된 의료서비스 기반구축 12 ●●
 12.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Smart Anti-Aging 산업 육성◦ 지역의 의료기기 및 바이오산업 과 연계․특화한 고령친화산업인 자연친화적 Smart Anti-Aging 산업화 육성을 통한 성장동력 발굴- 700m 고원지대에서 천연물 항 노화 소재 개발, 화훼산업(천상 의 화원) 및 고원경제 육성※ 고령화 시대에 따라 세계시장 규모가 10년 1,895억달러에서 15년 2,919억 달러로 증가 예상◦ 강원도내 주요 첨단 인프라와 연계 체계 구축 및 사업모델 발굴 추진환동해 향토산업 클러스터 조성◦ 개최지 일원에 국내 및 환동해지역의 전통산업을 집적화하여 생산, 판매, 체 험, 인력양성, 기업지원이 이루어지는 향토산업 클러스터 조성- 산업관광단지 조성을 통해 전통산업과 관광의 연계를 통한 명소화 추진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13
 13.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그린바이오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 ◦ 강원도 친환경 농산물 육성을 통한 안전한 먹거리 제공 산업 육성 - 대규모 생산이 가능한 식품산업보다 시군별 특화된 식품소재 및 장인 등을 활용한 맞춤형 시장 육성 평창 그린바이오 식품클러스터와 평창 그린바이오 식품클러스터 17개 시군 연계 Model ․ 강원 식품 R&D의 중추기능 담당 ․ R&D에서 마케팅까지 일관 추진체계 구축 ․ 집적효과로 인한 규모의 경제 실현 17개 시군 ․ 지역민 소득증대로 지역경제 활성화 ․ 향토 자원․역량의 산업화 촉진 ․ 지역 특산품과 신기술의 결합 스포츠산업 클러스터 조성 ◦ 구축된 동계스포츠 인프라를 강원도 소재산업과 연계하여 동계스포츠 산업 육성 - 올림픽 스포츠산업단지 조성을 통한 기업유치와 체육과학연구원 스포츠산업 분원 및 한국체육대학원 유치 등을 통한 R&D 기반 조성 추진 ◦ 동계분야 국립 스포츠 훈련장 건립 올림픽스포츠산업단지 동계스포츠과학 R&D센터 14 ●●
 14.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지역산업 융합을 위한 IT융합센터 운영 ◦ 의료, 바이오, 스마트화, 관광 분야와 IT 분야 융합을 위한 중점지원기관 설 립을 통한 산업 육성 - 사업지원, 맞춤인력 양성, 관련분야 산학연 네트워크 등의 추진 ◦ 첨단 정보서비스 제공, 돌발상황에 대비한 실시간 대응 시스템, 글로벌 관광 등 IT 올림픽 실현 - 지능형 스마트 경기장 조성, 실시간 경기기록 및 분석 정보 제공, 스마트 미 디어센터 구축, 스마트 선수촌 구축, 스마트 통합 관제 센터 조성 등 남북경제협력특구 및 환동해 경제협력 네트워크 구축 ◦ 북한에 매장된 7,000조원의 지하자원과 극동러시아 천연가스를 포함한 지하 자원의 연계를 활용하는 남북경제협력특구 지정 추진 - 남북공동 지하자원 현황조사, 남북경제협력추진기획단 운영 등 ◦ 국내외 투자유치를 위한 강원도 IR 작성 - 강원도의 외국인투자 강점을 극대화한 IR 제작을 통한 투자유치 홍보 추진 ◦ 환동해 지역의 경제협력을 주도하기 위한 교류협력 체계 활성화 - 동북아 민․관 경제협력 네트워크 구축, 동북아 경제협력 홈페이지 구축 및 운영4. 농 ․ 림 ․ 어업 분야 외국인 농촌체험관광 특화마을 육성 및 농어촌 권역단위 종합정비사업 추진 ◦ 평창올림픽 개최로 인한 강원도 글로벌 인지도 향상에 따라 외국인 관광객이 증가함에 따라 한국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농촌체험관광 특화마을 조성 - 강원도에는 5개 체험마을 조성 : 평창 의야지 바람마을, 인제 냇강마을, 횡성 산채마을, 인제 고로쇠마을, 양양 해담마을 ◦ 평창올림픽 개최지역 주변의 잠재자원 발굴을 통한 특색있는 농어촌지역개발을 위해 정부의 권역단위 종합정비사업과 연계하여 농산어촌체험관광, 마을경관 조성 등을 통해 지역 활성화 - 기존 46개 추진 권역중에서 동계올림픽 개최지역과 영동고속도로 주변지역 15개 권역을 겨울철 자원을 바탕으로 특성있게 개발추진 ●●15
 15.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농수축산물을 이용한 첨단산업 육성 ◦ 평창올림픽에서 사용되는 1회용 소모성 용기를 옥수수, 감자, 해조류 등을 이 용한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으로 제조하여 친환경올림픽을 구현하고 친환 경 소재관련 산업 육성 추진 ◦ 식물의 생육환경을 제어하면서 친환경․고품질 유기농 농산물을 생산하는 식물 공장을 해양심층수와 연계 육성 추진 - 특히 식물공장 운영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에너지비용을 해수온도차 등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자원 활용 16 ●●
 16.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해양심층수 산업벨트화를 통한 신수산경제권 육성◦ 강원도 동해안 6개 시군 중심의 해양심층수 산업 벨트화를 통한 육성- 높은 경제적 잠재성에도 불구하고 투자비 과다, 매출부진, 먹는샘물 치중과 같은 문제로 인해 산업화 한계- 지역별 특화된 해양심층수 연구단지, 발효산업단지, 축양산업단지, 금속추출 산업단지, 수산자원조성, 양식, 농업 및 가공산업단지, 헬스케어 및 관광단지 등의 전략수립을 통해 차별화 전략 수립올림픽 관련 고품질 식자제 공급◦ 친환경 농산물, 고급 육류, 신선한 수산물 등 공급체계 구축을 통해 도내 농 가 소득 제고 및 강원도 농수축산물 우수성 홍보를 통한 수출기반 마련- 강원도 농수축산물 공급 MOU 체결, 2018평창동계올림픽 공식지정 농수축 산물 인증제 도입, 고품질 농수축산물 공급사업단 운영, Olympic Food Zone 조성 등 추진- 유망품목 위주의 생산기반 확대 및 품질고급화 추진, 식품 가공산업 육성한식 세계화 및 농수산물 글로벌 브랜드 육성을 통한 관련산업 육성◦ 최근 한류열풍, 한국의 주목받는 건강식품, 평창올림픽을 연계한 한국음식 세 계화 정책의 핵심으로 강원음식 육성- 강원도 청정 식재료를 활용한 향토음식 육성을 통해 글로벌화 추진- 한국 전통음식체험관 조성, 강원도 지역특산물 올림픽 개최, 농수축산물 글로 벌 브랜드 육성 등을 마을 및 사회적 기업 등과 연계하여 추진외해 가두리 양식 산업 육성◦ 강원도 동해안을 활용한 외해 가두리 산업 육성으로 수산업의 고부가가치화- 유가상승, 자원량 감소 등 기존 어업 환경 악화에 따른 대응방안으로 미 래형 양식산업인 외해 가두리 분야 육성 ●●17
 17.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지역개발계획 1. 현황과 진단 북극항로 및 환동해 지역의 성장 ◦ 중국, 러시아의 동해 환동해 지역의 역내 교역량의 지속적인 증가 등 동북아 경제권의 부상 - 북극항로 개방, 북극해 자원 개발, 중국 동북 3성의 장지투 지역개발, 북한의 나진항 개발 등 지역발전 여건의 급속한 변화 전망 ◦ 평창올림픽 유치와 동해안권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통해 환동해 경제권을 주도 하는 중심지역으로 부각 2. 사업계획도 및 계량적 목표 지역개발 분야 사업계획도 지역개발 분야 목표 주요지표명(단위) 2011년 2013년 2015년 2018년 2020년 고속도로 확충(km) 339 347 347 515 584 철도망 확충(km) 370 376 376 489 511 국도4차로 확․포장(km) 576 601 632 693 958.7 지방도 확충(km) 1,448 1,462 1,475 1,511 1,529 항만물동량(만톤) 4,200 4,500 5,100 6,300 7,000 18 ●●
 18.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3. 평창올림픽 도시․지역기반 구축 및 정비 동계올림픽특구 지정 및 육성 ◦ 동계올림픽 특성상 산악지역의 소규모 도시에서 개최됨에 따라 국가 주도의 관련 인프라 지원이 필요. 이들 시설과 기능을 지속가능하게 발전시키기 위해 관광․휴양, 연구, 주거, 산업기능을 갖춘 동계스포츠 도시로 육성 - 올림픽 성공 개최지원, 아시아 동계스포츠 메카 조성, 동계스포츠산업 및 융․ 복합 관광벨트 조성 ◦ 올림픽특구 지정에 따른 외주유치 활성화 추진을 통한 국제적인 도시 조성 - 동계올림픽 개최지역에 대한 외국인 투자 유치 촉진 및 정주여건 개선, 부동 산 투자 이민제도 내실화, 외국인투자전용단지 지정 추진 강릉 저탄소 녹색시범도시 조기 조성 ◦ 평창올림픽 개최도시인 강릉을 저탄소 녹색성장을 선도하는 “세계적인 명품 녹색성장형 도시”로 조성하는 것으로 2020년까지 수립된 계획을 올림픽 개최 이전까지 조기 완료 - 강릉시 경포 일원에 6대 핵심기술(녹색교통․주택, 에너지, 생태녹지, 물․자원순환, 그린IT)을 구현하는 29개 사업에 총 1조원 정도 투자 - 평창그린올림픽시티 조성계획과 연계 추진 ◦ 저탄소 녹색시범도시의 올림픽 시설 활용을 통한 친환경올림픽 개최 추진을 통해 국가 및 지방의 재정부담 완화 및 사후활용 방안 연계 추진 ●●19
 19.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설악단오문화권 개발계획 추진 ◦ 설악단오문화권의 역사문화 발굴․복원․정비와 관광자원의 효율적 개발을 통한 동해안권 발전 도모 및 새로운 관광수요 창출 - 남과 북, 바다와 육지, 영동과 영서의 단절을 잇는 네트워크형 연계개발을 통 해 동해안․DMZ․설악산의 생태․환경 가치를 문화․관광 자원으로 연계하는 복합 개발 추진 ◦ 2020년까지 3개 부문(역사․문화자원복원, 지역관광자원정비, 도로․교통기반시 설사업) 18개 사업에 1.2조원(국비 4,070억원) 투입 - 2019년까지 설악동 집단시설지구의 재개발 추진(산악형, 교육문화, 산악형리 조트 테마지구) - 강릉 단오문화거리조성, 다목적체험장 조성 등 단오문화 복원사업 활성화를 통해 문화올림픽 구현 - 해안관광도로, 인제 생명허브마을 조성, 고성 건봉사 복원, 양야 연어과학관 건립 등과 올림픽 개최지와 연계 강화 동계올림픽 개최도시 도시환경정비 ◦ 숙식, 관광/문화, 의료, 쇼핑 등 원활한 도시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반 조성을 통해 주민생활 및 관광여건 개선 20 ●●
 20.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상하수도, 도시가스, 주택, 의료시설, 공원, 상업시설, 하천 및 재해시설 정비 등 열악한 정주여건 개선 추진 지하우수 집수시설 빗물순환 침투시설 우수 자연 정화 및 이용통합수송체계 중심의 물류허브 구축◦ 항공, 해운, 철도 등 기간 교통수단이 결집되는 지역에 연계수송체계, 물류/산 업단지, 배후지원단지 등을 클러스터화 한 육․해․공 통합물류체계의 물류거점 (Port/Airport Biz Valley) 조성과 이를통한 인적․물적 흐름 구축- 양양공항~항만~올림픽 개최지역~원주공항 연결 철도망 건설, 배후 물류지원 시설 및 항만, 공항 수용능력 확충, 동해안 통관 기능 강화◦ 강원도 目자 전철망과 연계한 철도역 주변 역세권 개발 구분 역세권 기능 구상 - 동계올림픽 지원기능 올림픽 특구역 - 올림픽 개최후 의료관광, 동계레저 스포츠 기반 기능 강원 북부선 - 문화시설, 레포츠-관광연계, 군 물류지원기능 등 강원 중부선 - 지역특화 산업지원 기능(첨단소재, 의료-관광, 물류유통 기능 등) ●●21
 21.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강원도 지역건설산업 활성화 추진 ◦ 평창올림픽 개최가 지역건설 산업과 연계될 수 있는 대책 마련 필요 - 지역제한 경쟁입찰, 지역의무공동도급 등을 통해 도내 등록 건설업체 보호 추진으로 관련 시설투자 재정 역외유출 최소화 방안 수립. 이를 통해 건설업 고용창출 및 고용시장 안정화 등 추진 ◦ 경기장, IBC/MPC, 선수촌 등 올림픽 관련시설 조성을 활용한 국제건축공모 개최 및 시공사 민자 투자로 국제적 이미지 강화 - 시설 운영 효율화, 관광명소 창출 등을 통한 사후활용방안 방안 연계 추진 - IBA 베를린 1987, 구마모토 아트폴리스 등 구마모토시 아트폴리스의 건축물 Mall of Korea 유치 ◦ 올림픽 전후 지속적인 관광객 유치를 위한 콘텐츠 확보를 위해 쇼핑과 가족단 위 종합테마파크를 결합한 복합기능형 브랜드 쇼핑몰 유치 - 항공, 철도, 도로, 항만 등 SOC 확충과 연계한 동북아 최대 쇼핑몰 유치로 서비스산업 중심지 구축 미국 Mall of America 22 ●●
 22.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동해안 해양 낚시공원 조성◦ 동해안의 방치된 어항, 석호, 연안을 활용한 4계절 해양 낚시공원 조성하여 주변 관광지 등과 연계하여 체류형 어촌 관광자원화 추진동계올림픽 개최지역 고급주거 휴양타운 조성◦ 개최지 주택공급 안정화 및 국내외 인구유입에 대응하는 고급 주거휴양 단지 조성- Anti-Aging Town, Eco Health Village, Creative Town, Eco-Culture City, HAPPY 700 알프스타운, Green & CO2-Zero Village 등 조성 Anti-Aging Town Eco Health Village Creative Town관광․레저형 기업도시 유치 조성◦ 수도권 접근성 개선을 통해 평창올림픽과 연계한 체류형 관광․레저산업 육성- 현재 조성중인 원주 기업도시와 연계한 관광․레저형 기업도시 유치 추진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도시경관․디자인 관리 추진◦ 지역특성에 맞는 창의적 도시경관 조성을 통한 올림픽 개최도시의 표현 및 형 상화, 세련된 시각적․공간적 도시 이미지 창출- 시가지 보도 및 가로등 정비, 동계올림픽 장승 이정표 설치, 품격있고 아름 다운 간판조성, 도 경계관문 주변 환경개선, 동계올림픽 경기장 주변 포토존 설치, 강원도 문화경관 디자인 사업, 올림픽의 상징성을 형상화 시설물 조성, 도로변 경관불량 산림 절성토면 복구, 지역 특성에 맞는 가로수 식재․관리, 갤러리 가로길 조성, 주요 도로면 농경지 도․배수로 정비사업 등 ●●23
 23.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4. 글로벌 복합 SOC 구축 올림픽 개최에 따른 교통․SOC 확충 ◦ 성공적 올림픽 개최를 위한 1시간대 수도권 접근 및 30분 이내 경기장 접근이 가능한 교통망 구축 - 강원 중부선 철도(원주~강릉 복선전철), 제2영동고속도로 등을 통해 “井”자형 광역 철도망, 국토 반나절 고속도로망, 경기장간 30분대 접근 국도망 확충 - 강원북부권 등 비개최 지역의 교통망 확충 ◦ 양양국제공항과 강원 북부선(춘천∼속초 구간)과 강원 중부선(원주∼강릉 구간) 철도를 연결시켜 양양공항을 환동해 교통물류 거점(node)으로 육성 철원 고성 강북 춘천 춘천~속초(동서고속화) 철도 속초 홍천 동서고속도로(홍천~양양) 양양 서울 횡성 광주 제2영동 6 원주~강릉 복선철도 강남 여주~원주 원주 강릉 영동고속도로8차로 장평 진부 여주 42 59 방림 42 42 동해 평창 정선 31 철 도 남부고속도로(제천~삼척) 삼척 고속도로 제천 영월 국 도 대구 포항 양양공항의 올림픽 공식공항 지정 및 공항시설 확충 ◦ 양양국제공항을 올림픽 개최와 연계하여 환동해 관문 및 수도권 대체 공항으로 육성 - 평창올림픽 공식공항 지정 및 활주로 증설, 화물터미널 진입도로 개설 등 인프라 확 충 추진. 동북아 3대 강국과 동남아를 연결하는 “+자형 국제항공 교통망” 구축 24 ●●
 24.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강원권 항만의 컨테이너 부두시설 확충 및 연계시설 조성◦ 북극항로 상업화, 북방 에너지 자원 확보, 강원도 육상 물류망 확충에 따른 강원권 항만의 수도권 접근성 강화에 따른 컨테이너 중심의 부두확충 필요◦ 제3차 항만기본계획사업 조기 실행 및 완공을 통한 고부가가치 물류산업 육성- 20년까지 동해항 부두 : 15선석→22선석(하역능력 2,800만톤→4,065만톤 확충)- 동해항 입안철도 1.3km 구축, 동해․묵호항, 속초항, 삼척항, 주문진항 확충 추진북방자원의 수출입 항만 확보◦ 지구온난화 진행에 따른 북극해 자원개발 가능성이 현실화됨에 따라 에너지 자원개발 경쟁 심화. 이들 자원의 수출입 항만 육성- 쇄빙선 아라온호의 출항기지 유치, 북극에너지 수입 항만 구축◦ 수도권과 강원도 항만을 연계하는 중부권 내륙물류 ICD 건설친환경 녹색도로 조성 및 녹색교통체계 구축◦ 도로변 유휴공간에서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여 가로등 및 도로제설 등에 활용하는 친환경 녹색 도로 조성(올림픽 개최지역 녹색도로 시범사업 추진)◦ 교통체계의 운영 정비를 통한 녹색교통수단 도입 및 인프라 확충을 통한 탄소관리형 교통체계 구축- Car Sharing System 도입, 녹색교통시스템 도입, 보행 및 자전거 중심 기법 도입◦ 친환경적인 교통수단(수소연료전지차, 전기차, 가스차 등) 보급 확대◦ 신속한 제설과 교통로 확보로 안전한 올림픽 지원을 위해 대설 대비 도로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기상예측시스템과 실시간 연계를 통한 효율성 제고◦ 새로운 문화․쇼핑 등 복합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강원도 도로 휴게소 명품화 추진동해안 WIG선 도입◦ 선박과 항공기의 특성을 결합한 새로운 해상 교통사단인 WIG 선을 도입하여 강원도 동해안과 울릉도, 독도를 연계하는 해상 교통 추진- WIG선을 활용한 해상 관광․레저 상품 개발, 관련산업 육성 추진 ●●25
 25.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5. 접경지역 발전전략 관광과 녹색성장을 선도하는 신 광역 관광권 구축 사회간접자본 등 인프라 구축 ◦ 안보자원, 생태자원 등 접경지역 비교우위 관광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이 필요 - 광역 교통인프라 구축, 접경지역 생태․환경 보전 및 활용 추진(안보생태빌리 지, 에코타운, 두루미 생태탐방 파크, 지리공원 등) - 화진포 국제관광휴양지 조성, 물안개 수변 웰빙체험파크 조성, 역대 대통령 테마공원 조성, 국제 밀리터리 아트파크 조성, 진부령계곡 경관마을 조성, 국 제자동차 테마파크 조성, 해양레포츠 기반시설 조성 - 청소년 K-Pop 경연대회, 국제 MTB 대회 등 관광활성화를 위한 접경권 특 화 관광상품 개발 ◦ 평균이하의 정주여건을 최적의 정주여건으로 조성 - 접경지역 도시기반 확충, 자립경제 기반조성을 위한 특화마을 및 체험관광지 조성 신성장산업 육성 및 특화발전지구 조성 ◦ 지뢰제거 로봇클러스터, 플라즈마산업 등 첨단 R&D 관련 인프라 구축, DMZ 특성화 대학원 육성 등을 통해 생명산업, 콘텐츠산업 등 지역특성에 맞는 비 굴뚝산업 육성 ◦ 글로벌 다문화촌 조성, 컬데삭 민통선 관리 등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는 개방지역 조성 ◦ 물류․에너지형 특화발전지구, 관광형 특화발전지구 등 조성 DMZ Reborn 클러스터 모형 철원 플라즈마 산업단지 조감도 26 ●●
 26.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6. 폐광지역 및 동해안 남부지역 발전전략 국가 첨단에너지 자원지대 조성 ◦ 과거 대한민국 에너지 종가를 국가 첨단 에너지 공급지대로 전화하기 위한 첨단 청정에너지 R&D 클러스터 조성 - CTL, IGCC 등 석탄의 청정에너지화를 통해 평창올림픽에 필요한 전력과 수 송용 에너지 생산 시스템 구축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가핵융합연구소 분원 유치를 통한 국가급 “청정석탄 기술연구소(가칭)” 설립을 통한 석탄 에너지화 연 구 및 발전사업자, 에너지 대기업 유치를 통한 산업단지 조성 - 석탄개발 인력 양성을 위한 “석탄아카데미” 유치 ◦ 동해바다에 매장된 가스하이드레이트와 삼척 제4LNG 생산․저장기지를 연계 하는 첨단 가스산업 클러스터 조성 - 가스하이드레이트 개발을 위한 R&D 및 천연가스 활용 산업화 추진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가스공사 등 분원유치를 통한 “자원개발 연구센터 (가칭)” 설립 ◦ 차세대 청정에너지인 수소융합에너지 거점 조성 - 수소융합발전소 데모플랜트 및 수소융합 연구소 유치 ◦ 에너지관련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첨단에너지대학원대학교” 설립 - 국가, 강원도, 지역대학, 국가출연연구소, 관련기업 등 연계 폐광지역 종합휴양의료 복합단지 조성 및 MICE 산업 육성 ◦ 폐광지역의 진규폐환자 및 의료취약층, 강원랜드 도박중동자 등의 치료 및 재 활을 위한 전문의료시설 조성 ●●27
 27.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리조트형 의료관광 시설 조성을 통한 글로벌헬스케어 관광객 유치 추진 ◦ 강원랜드, 하이원리조트, O2리조트, 동강시스타 등 폐광지역 관광휴양시설 을 활용한 MICE 산업 육성 - 관련 시설의 접근성 개선을 통한 연계망 구축을 통한 외국인 관광객 유치 ◦ 탄광지역 생환현장보존 복원사업(총 7개, 484억원 투입)와 연계하여 관광자 원 등으로 활용하기 위한 운영체계 구축 태양광 산업 및 자원개발 무인화 클러스터 조성 ◦ 영월지역에 매장된 규석을 활용하여 태양광발전의 소재로 활용되는 메탈실리콘 생산을 통해 지역 동력산업으로 육성 - 규석 → 메탈실리콘 → 폴리실리콘으로 이어지는 산업 육성과 대규모 태양광 발전단지 조성을 통한 태양광산업 클러스터 조성 ◦ 석탄의 채탄, 극한지역 자원 탐사 및 개발, 관련기술 수출로 이어지는 자원개발 무인화 클러스터 조성 폐광지역 자립형 마을기업 지원센터 및 발전지원센터 설립 및 운영 ◦ 폐광지역 마을 특화자원을 활용한 주민주도의 마을기업 설립 및 운영을 지원 하기 위한 “폐광지역 자립형 마을공동체회사 지원센터(가칭)” 설립 - 폐광지역내 “자립형 마을공동체회사(가칭)” 100개소의 교육, 훈련, 컨설팅 지원을 위한 지원센터 조성 ◦ 폐광지역개발 사업의 성공적 마무리를 위하여 강원도내 사업의 사전평가, 사후 관리 등을 수행하는 전문성을 갖는 지원기구 설립 - 폐광지역개발 사업에 대한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개발 지원 추진을 통한 합리성 및 효율성 확보 28 ●●
 28.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환경계획1. 현황과 진단 자연생태계의 보고 강원도 ◦ 강원도는 백두대간, DMZ, 동해바다, 한강과 낙동강 발원지, 전국 담수량의 1/3 수준의 수자원보유, 최고의 수질환경을 보유한 청정지역으로 국내외적으로 인정받는“생태계의 보고” ◦ 강원도의 우수한 자연환경은 지속가능한 보전과 이용으로 다음 세대에 유산으로 물려주어야 하는 자산으로 체계적인 보존과 활용 대책 수립이 필요 올림픽 가치를 실현하는 그린올림픽 ◦ 환경올림픽은 제17회 릴레함메르동계올림픽부터 구현되었으며, IOC는 스포츠, 문화, 환경을 올림픽 3대 정신으로 선언 ◦ 강원도는 평창올림픽을 “Green Dream : O2 Plus Winter Games”계획을 바탕으로 친환경그린올림픽으로 개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2. 사업계획도 및 계량적 목표 환경 분야 사업계획도 ●●29
 29.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환경 분야 목표 개최지역 주요환경 지표 2011년 2013년 2015년 2018년 2020년 그린에너지 생산(GWh/년) 100 120 280 370 400 탄소흡수림 조성 (ha) 25 55 163 300 350 쓰레기 감량율(%) - 5 10 30 35 폐기물 자원화율(%) 40 50 60 85 90 도암댐 SS 농도(㎎/L) 10 8 5 2 2 물 사용량 절감율(%) 5 8 12 20 25 상수도 보급률(%) 86 86 88 90 92 하수도 보급률(%) 88 90 90 92 93 중수도 사용률(%) - 5 10 30 35 3. 산림 및 생태계획 정선 가리왕산 활강장 예정지 생태피해 최소화 ◦ 활강장 예정지 주변지역 정밀조사를 통한 멸종위기종, 희귀종, 지역 특산종, 야생동물 및 양서․파충류 등 보존가치가 있는 생태자원 보전대책 수립 - 활강장 주변 가리왕산 일대 2,400ha는 국가산림유전자보호구역으로 식생이 우수하고, 다양한 군락지들이 존재하는 지역 - 보전 가치가 있는 식물종을 이식하여 보존 및 증식이 가능한 식물원 조성 추진 ◦ 지속적인 생태변화 모니터링을 통한 올림픽 개최이후 시설의 산림 복수 및 생 태계 복원 등을 위한 계획수립 산림훼손지 최소화 및 대체산림 탄소흡수원 조성 ◦ 경기장, 선수촌, 교통망 등 조성으로 인 한 산림 탄소흡수원 감소에 대응하여 훼손지 2배 이상의 탄소흡수림 조성을 통한 친환경올림픽 구현 - 산림자원 조성 및 도시 유휴지를 활용 한 탄소흡수원 확충 - 산림자원을 이용한 명품 산촌마을, 산 녹색네트워크 개념 림목재 및 부산물을 이용하는 탄소 순환마을 조성 - 산촌 지역 바이오순환림 조성 및 제지․펠릿 등 바이오에너지 이용 활성화 추진 30 ●●
 30.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태백산, DMZ, 민물김, 임산물 등 강원도 산림 자원화 추진◦ 민족의 명산인 태백산의 가치 제고를 위한 국립공원화 추진- 태백산의 가치 창출 및 운영 효율화를 통한 관광자원화◦ 생태계 보고인 DMZ 일원의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선정 추진- DMZ 일원의 생물다양성 보전이 낙후된 지역경제 활성화와 연계될 수 있는 전략 수립 운영◦ 삼척시 소한천에 자생하는 국내 유일의 민물김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특화산업 육성- 민물김 보존 및 특화산업화를 위한 대책 수립(1980년 1,500여톳 → 2009 년 10여톳)◦ 강원도는 81%가 산림이지만 연관 소득은 낮은 편으로 비교우위에 있는 산나 물, 약용식물, 농용자재 등의 임산자원을 활용한 소득화 추진- 임산물을 부가가치가 높은 가공 상품으로 개발하여 산촌지역 소득증대산불 및 병충해 예방 및 방제 대책◦ 기후변화 및 관광객 및 개발 수요 증가에 따른 산불발생 가능성 증가에 따른 선제적 예방정책 수립- 예방활동 강화, 과학적인 산불관리 시스템 구축, 산불진화 인프라 구축, 산불 피해지 복구, 전문인력 양성 등을 통한 산림보호 적극 추진◦ 기후변화 및 지역내 방문객 증가로 병해충 가능성 증가에 따른 예방책 수립- 예찰 강화 및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통한 조기발견 및 확산방지 대책 중심 의 방제시스템 운영생태하천 및 습지 조성◦ 알펜시아클러스터 주변 송천 및 오대천의 훼손된 하천생태계 복원을 통한 생 물다양성 및 휴식․친수 기능 확보 추진- 골프장, 리조트, 고랭지 농경지 등에서 발생하는 오염원으로 하천환경 파괴◦ 보광휘닉스파크, 용평리조트, 알펜시아리조트 지역에 생태습지 조성을 통해 수질정화 효과, 생물서식지 제공으로 생물다양성 확보- 경작지, 수자원, 생물다양성, 숲, 청정공기 등 환경자원 보전 및 관광자원화 ●●31
 31.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강원도형 쾌적산업 육성 ◦ 알펜시아클러스터 지역에 세계 최대의 “천상의 화원”을 만들어 관광, 치유, 산업, 연구 연계 추진 - 테마 관광산업, 종자산업, 바이오 및 메디컬 산업, 엔터테인먼트 산업 등 육성 ◦ 백두대간, DMZ 등의 자연자원을 활용한 트레킹 코스 개발 - 레포츠 활성화 및 주변 산촌과 연계한 관광산업 육성 ◦ 산림휴양시설을 활용한 체험프로그램 개발 - 강원도내 위치하는 자연공원, 자연휴양림, 삼림욕장 등 다양한 휴양시설을 활 용한 체험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체류형 관광산업 육성 - 휴양시설과 힐링, 산림 테라피 등을 연계한 의료관광 육성 ◦ 훼손되는 정선 활강장 주변을 활용한 산악 체험장 조성 4. 수자원 이용 및 관리 합리적 용수 확보 및 하수 인프라 구축 ◦ 상주 및 유동인구 증가, 건설수요 증가, 인공제설 등으로 급격한 용수 수요의 증가가 발생함에 따라 용수확보 및 상수공급 계획 수립이 필요 - 사용량 절감, 빗물이용 확대, 자연 수자원 확보, 오수처리 등 친환경적인 물 순환 체계의 구축 추진(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 ◦ 인구, 시설물 증가에 따른 하수배출량 증가에 대비하는 대책 마련 추진 - 하수도시설 확충 및 노후시설 교체 등 관련 인프라 구축 ◦ 올림픽 기간 일시적인 수요 증가와 개최이후 적정 수요를 반영한 계획수립 추진 32 ●●
 32.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개최지역의 비점오염원 관리 ◦ 경기장, 골프장, 리조트, 고랭지농업 등에서 발생하는 환경문제에 효율적인 대 응을 통한 수질개선 및 그린에너지(수력발전) 생산 추진 - 퇴비 및 비료성분 유입에 따른 송천 및 도암호 수질악화. 근본적인 대책 마 련을 통한 수질확보 방안 수립 추진 - 비점오염원 저감 및 천상의 환원을 통한 쾌적산업을 연계하는 계획 수립 필요 한강 및 낙동강 발원지 보전과 가치화 ◦ 강원도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한강과 낙동강의 발원지가 위치하는 지역으로 이를 지역 대표자원으로 가치를 창출하는 전략 마련 필요 - 발원지 샘물을 이용한 명품화 사업 추진, 검룡소 연관 콘텐츠 발굴, 낙동강발 원지 물길복원을 위한 생태하천복원 추진 ■ 검룡소의 일반 현황 ○ 수량 : 약 2,000톤/일, 석회암반에서 솟는 용천수 ○ 수질 : 1급수 샘물(BOD 0.3㎎/L, TP 0.009㎎/L, TN 0.34㎎/L) ○ 길이 및 면적 : 길이 514km, 면적 32,935㎢ ○ 기타 : 수온은 연중 9℃ ○ 자연생태보전지역, 국가지정무문화재로 지정 ■ 황지연못의 일반 현황 ○ 수량 : 약 5,000톤/일, 석회암반에서 솟는 용천수 ○ 수질 : 1급수 샘물(BOD 0.2-0.3㎎/L, TP 0.007㎎/L, SS0.2-0.4㎎/L) ○ 상지 둘레 100m, 최대수심 4m5. 폐기물 관리 및 에너지 자원순환형 폐기물 관리 ◦ 기존 버려지는 폐기물의 자원화를 통한 친환경올림픽 구현 - 자원순환 정보관리, 자원순환형 폐기물 관리체계 구축방안 마련을 통해 폐기 물의 처분을 최소화하는 강원도 조성 ◦ 폐기물의 안정적 처리 및 경제성 확보를 위한 처리시설의 광역화 추진 - 가연성․유기성 폐기물 자원화를 통한 신재생에너지 확보로 그린올림픽 구현 ◦ 종이류, 폐비닐, 캔, PET병, 폐유, 오일, 전자제품 등 재활용이 가능한 자원의 수거시스템 구축 ●●33
 33.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폐자원 활용활성화 확대를 통한 사회적 일자리 창출과 연계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를 통한 에너지 자립화 ◦ 도암댐 강릉수력발전소(82MW) 수력발전 재개를 통한 180GWh의 신재생에 너지 생산을 통한 친환경 올림픽 개최 - 도암댐 유역관리 종합대책 수립을 통한 수질오염 개선을 통해 발전 추진 - 강원도의 하천, 저수지, 하수 및 정수처리장 등의 자원을 활용한 소수력 발전 추진 ◦ 풍력, 태양광, 지열, 소수력, 해수온도차발전 등 강원도내 신재생에너지 자원을 통한 에너지 공급 - 산림훼손 및 생태계 파괴 최소화, 수질문제 해결과 함께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추진하여 전국 1위의 신재생에너지 생산 유지 - 국가 정책과 연계하는 신재생에너지 테스트베드 사업 유치 및 산업화 연계 - 올림픽 관련시설, 공공건물, 유휴부지 등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생산 - 강원도형 G-House 보급, 그린홈 100만호 사업 등 유치 및 개최지역 주변의 그린 리모델링 확대 ◦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와 연료전지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연료전지 사업화 추진 ◦ 석탄을 활용한 청정발전과 CCS(Carbon Capture and Storage)를 연계하는 청정에너지 실증플랜트 사업 추진(폐광지역 청정에너지클러스터 조성과 연계) 34 ●●
 34.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6. 기상・기후 대응분야 및 녹색생활화 기상・기후 연구 인프라 구축 ◦ 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와 미래 수자원 및 기상이변에 대응하는 기상조절 연구 인프라 구축 - 대관령에 위치하는 국립기상연구소의 “구름물리 선도관측센터”를 “국립기 상조절연구센터(가칭)”으로 확대하여 기상조절 분야의 국제적 거점으로 육성 - 향후 강릉의 재해기상예측센터, 산악기상센터 등과 연계 발전 추진 ◦ 동계올림픽의 기상지원을 위한 지원기상센터 설립을 통해 기상측정망 및 예보 시스템 구축 - 날씨가 급변하는 겨울철 야외에서 개최되는 올림픽의 특성상 정확한 기상예보 시 스템 구축 필요. 향후 강원도 기상․기후 산업과 연계되는 전략으로 계획 추진 ◦ 기상․기후 산업 육성을 위한 기상 클러스터 조성 추진 - 기상과학관 건립, 기상산업육성, 전문인력 양성 등과 관련된 관광․교육․산업이 연계된 기상․기후 거점지역 조성 기상조절 개념도 기후누리관 조감도 평창그린올림픽시티 조성 ◦ 강릉 저탄소 녹색시범도시 조성과 연계하여 올림픽 주 개최지인 평창에 그린 올림픽시티를 조성하여 친환경올림픽 개최 - 2012년 기본계획 수립 등을 통해 친환경 도시 조성 추진 대기환경 및 실내 대기질 측정망 구축 ◦ 강원도를 포함한 개최지역의 대기오염을 측정하는 시스템 구축을 통해 청정강 원과 환경올림픽 이미지 제고 ●●35
 35.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경기장, 선수촌 등 대회관련 시설의 실내 공기질을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선수 및 관계자들의 건강관리 제고 ※ 이들 사항은 Olympic Games Impact Study(IOC 의무제출 보고서) 필수 작성 요소 저탄소 녹색생활 활성화 ◦ 환경인증프로그램 확대를 통한 그린올림픽 구현 - 환경경영시스템(EMS), Eco-Label 인증 프로그램 도입 추진 ◦ 녹색제품 보급을 통해 그린올림픽 구현과 지역 산업의 육성 36 ●●
 36.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관광계획1. 현황과 진단, 그리고 계량적 목표 관광산업 서비스의식 혁신 ◦ 자연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강원도 관광산업은 타 지역과 비교하여 성장 정체 라는 위기에 직면 ◦ 강원도 관광산업은 GRDP의 22.2%를 차지하는 핵심산업으로 올림픽개최를 기회로 물적․인적 인프라 구축을 통한 육성 필요 - 도민의 진취적인 관광서비스 마인드 함양을 통해 글로벌 관광기반 구축 글로벌경쟁력 강화 ◦ 3대 접점분야(숙박, 음식, 쇼핑) 및 스마트 정보․편의체계 확립, 홍보마케팅 강화를 통한 강원도지역 관광시스템 경쟁력 확보 필요 ◦ 특색과 품격이 있는 관광자원조성 및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오감만족을 구현 하는 강원도 관광전략 수립 - 사계절 특화관광자원 및 상품 개발, 관광소프트웨어 경쟁력 강화를 통해 여 름철, 겨울철 집중된 관광행태의 개선 추진 ◦ MICE, 동계스포츠 관련 행사 등 융복합 관광산업 육성 2020 강원관광 공간구상 ◦ 강원도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간 역할 및 기능분담을 통한 관광활성화와 개 발상승효과가 발생할 수 있도록 5개 관광소권으로 구분 - 춘천・화천・양구・철원 지역은 문화레 져관광소권으로 춘천 거점의 문화관 광, 레포츠 및 수변관광 기능 - 원주・홍천・횡성・평창 지역은 전시컨 벤션・휴양관광소권으로 원주 거점의 ●●37
 37.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전시컨벤션, 의료, 동계스포츠, 숲자연 휴양기능 - 속초・인제・고성・양양 지역은 설악・해양관광소권으로 속초 거점의 국제 관광 및 해양치유 기능 - 강릉・동해・삼척 지역은 전통문화・해양레져관광소권으로 강릉 거점의 단오, 해양레포츠, 해양휴양기능 - 정선・영월・태백 지역은 남부고원관광소권으로 정선 사북 거점의 고원 휴양과 카지노 특화기능을 도입 2. 사업계획도 및 계량적 목표 관광 분야 사업계획도 관광 분야 목표 구 분 2011년 2013년 2015년 2018년 2020년 내국인 관광객(천명) 99,945 109,220 119,429 136,711 1498,705 외국인 관광객(천명) 1,548 1,781 2,075 2,619 3,087 계(천명) 101.493 111,011 121,504 139,330 152,792 38 ●●
 38.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3. 관광의식 혁신계획◦ 도민의 긍정적인 관광 마인드 함양과 관광 조사원의 의식 변화를 통한 관광서 비스 역량강화 필요 - 관광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4대 접점분야(음식, 숙박, 관광지, 교통) 개선, 친 절서비스 향상 교육 등 도민 친절서비스 운동 강화 - 업종별 서비스 평가를 통한 우수업체 선정 및 관리◦ 올림픽이라는 글로벌 메가이벤트에 맞는 관광서비스 인증제도 도입, 통합 마케팅 지원체계 구축 등을 통한 관광 서비스 만족도 제고 - 숙박서비스 인증, 음식서비스 인증, 쇼핑서비스 인증 추진◦ 관광 인바운드 업계의 활성화를 통한 지역의 관광상품 개발활동을 촉진함과 동 시에 지역 일자리 창출 추진 - 강원도를 홍보 및 안내할 수 있는 인력양성 및 전문 Specialist 발굴◦ 관광산업과 지역주민이 상생 발전할 수 있는 지역관광발전협의체 구축 - 미국 레이크플래시드, 노르웨이 릴레함메르 성공은 지역주민들에 의해 구성된 지역발전협의체를 통한 관광산업 육성이 기여○ 숙박서비스 인증 - 특급호텔과 일부 관광호텔에 대한 협회 차원의 등급화 및 굿 스테이 등 일부 민박시설에 대한 품 질관리 정도 ☞ 강원도 차원에서 동계올림픽에 대비한 전체적인 숙박품질관리시스템을 도입해야 함○ 음식서비스 인증 - 모범음식제도와 같이 보건․위생적 측면의 음식점 관리에만 초점 ☞ 미슐랭 가이드 정도의 글로벌 스탠더드에 적합한 음식점을 특별 인증해야 하며, 개별 외국인 관광객(FIT)을 상대하기 위한 전반적인 인증체계를 마련해야 하는 상황임○ 쇼핑서비스 인증 - 지역특산품과 몇몇 공예품 이외에는 글로벌 수준에서 관광 상품으로 내놓을만한 품목 자체가 부족 하여 인증은 거의 부재한 상황 ☞ 전체적인 쇼핑관광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한 상황이며, 이 가운데 글로벌 스탠더드에 적합한 인증체계도 마련되어야 함4. 관광산업 글로벌경쟁력 강화시스템 구축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숙박 시스템 “올림픽 스테이” ◦ 올림픽 전후 해외관광객 증가에 대비한 글로벌 숙박서비스 인프라 및 역량 축적 - 호텔식 숙박, 음식, 부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익숙한 해외관광객에 맞는 펜션, 홈스테이, 농박 등의 인프라 및 역량 강화를 통한 관광객 유치 추진 ●●39
 39.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소규모 숙박시설 기준 설정을 통한 리모델링 및 경영컨설팅 실시, 도내 숙박 시스템 통합 DB 구축 등 ○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의 숙박시설 운영계획 - IOC가 요구하는 23,300실 : IOC 패밀리, 국제경기연맹, 스폰서, 미디어 등이 활용 예정 - 선수촌 2개소 3,223실 : 선수촌으로 활용 이후 리조트로 임대 활용하거나 대회 이후 민간 분양 계획 - 관람객 숙박 100,000실 : 호텔, 콘도, 연수원, 펜션, 홈스테이 등이 분담하여 숙박객 유치 ☞ 대규모 숙박시설의 부족으로 펜션, 홈스테이 등 소규모 숙박시설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 올림픽 관련 특화상품 개발 ◦ 강원도에서 생산되는 주 농산물인 감자와 옥수수를 활용한 글로벌 레시피를 개발하여 지역 관광요소로 활용 - Potato & Corn Food Festival 개최를 통한 세계적 음식축제 개최 - 관련 가공식품 산업 육성을 통한 산업화 및 일자리 창출 ◦ 강원도를 대표하는 글로벌 이미지 제품의 인지도 확보를 통한 지역관광산업 육성을 위한 동계올림픽 이미지 제품(Sweet/Tea/Wine) 개발 - 강원도 향토음식, 특산물 상품화와 더불어 강원도 지역특산물과 연계한 베이 커리, 쿠키, 초콜릿, 사탕, 차, 와인 등 상징적인 먹거리 개발 추진 ◦ 지역 캐릭터를 활용한 동계올릭픽 팬시․아트용품 개발을 통한 캐릭터 산업 육 성을 위한 기반 구축 - 강원도 행정캐릭터 반비(반달곰)과 평창 지역캐릭터 눈둥이 등의 인지도 향상 - 올림픽 개최를 기념한 강원도 ◦ 강원도가 보유한 전통 무문화의 특성을 전세계에 알리는 공예상품 개발을 통한 전통문화 산업 육성 기반 구축 - 원주 옻과 한지, 고성 각자장, 강릉 방짜수저 등 강원도 대표 공예상품의 브 랜드화, 산업화, 명인․명품화 추진 40 ●●
 40.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강원관광 인프라 개선 ◦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개별자유여행(Foreign Independent Tour, FIT)방 문객의 증가에 대비하기 위해 관광목적지의 숙박․음식점․쇼핑시설 등을 쉽게 찾아갈 수 있는 관광시설 및 안내소의 글로벌화 추진 - 국내 주요 공항 및 항만에서 강원도를 찾아올 수 있는 안내 시스템 구축 ◦ 강원지역의 최신주제, 이벤트 등 다양한 콘텐츠 및 관광자원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제공하는 시스템 구축 - 홈페이지, SNS 등 첨단 IT 기반을 활용한 글로벌 U-강원관광 기능 강화 ◦ 새로운 니치마켓 확보를 위한 국제네트워크 강화시스템 구축을 통한 강원도 인바운드 관광 기반 구축 - 문화교류 활성화 및 틈새시장 확보로 국내외 관광경쟁력 강화5. 사계절 특화관광자원 및 상품 개발 영서권 광역 관광브래드(무지개 벨트) 형성 ◦ 강원도 영동권에 비해 취약한 영서권 관광 활성화를 통해 강원도 관광의 파급 효과 극대화 추진 - 최근 교통망이 개선된 영서권을 광역브랜드로 묶어 수도권 여가 소비자들을 공략하는 엔터테인먼트 산업벨트 조성 - 랜드마크 구조물 조성, 다양한 테마를 바탕으로한 1년 52주 프로그램 운영 등 ●●41
 41.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강원도 자원을 활용한 관광명소화 및 관광상품개발 ◦ 글로벌 관광명소 육성을 통한 강원도 관광의 국제적 인지도 확보 추진 - 자연경관, 문화예술거점, 식도락․쇼핑 거점 등 유형 구분에 다른 도내 가능성 있는 관광명소 선정 및 관리 ◦ 강원도 411개소의 공교자원을 활용하여 올림픽 콘텐츠 다양화 추진 ◦ 강원도 청정환경을 관광자원으로 적극 활용하기 위해 다양한 대상을 고려한 로하스 휴양상품 개발 ◦ 올림픽 개최지역인 평창 오대산을 중심으로 생명․명상․치유 공간을 조성하여 국제적으로 경쟁력을 갖춘 정신․건강산업 육성 - 치유, 문화, 관광해설사, 온라인 농산품 판매자 등의 신규 일자리 창출 ■「오대산 스타트렉」은 월정사와 구룡령, 소 금강을 중심으로 4개시군, 5거점 10개 농산촌마 을(홍천 : 내면 명개리, 양양 : 황이-갈천리, 면옥-법수치리, 강릉 : 부연동, 삼산 장천 마을 : 총 108㎞)들을 연결하는 별 모양 둘레길임 ■ 오대산스타트랙 어메니티 치유산업 거점화 사업 주요 개념화 ○ 移 : 이동, 인간활동 공간 ○ 食 : 거점별 오대산 슈퍼푸드 개발 ○ 住 : 월정사 템플스테이, 선방, 농산촌 마을 특성화 숙박 서비스 42 ●●
 42.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 뉴 시니어 계층을 겨냥한 올림픽 시설의 활용과 관련상품 개발을 추진하여 시장 선점 추진 ※ 2020년 뉴 시니어 시장은 108조원으로 전망 - 올림픽 개최로 확충되는 기반시설을 활용해 4계절 가능한 관광상품 개발. 특 히 천혜의 자연자원을 활용하여 의료 및 힐링 서비스 중점 육성 ◦ 체류형 관광객 유치를 위해 지역별 특성을 활용한 야간관광상품 개발 심해생물 전용 아쿠아리움 조성 ◦ 동해안 해양관광 활성화를 위해 해양심층수를 활용한 심해생물 전용 아쿠아리 움을 조성 ※ 일본 츄라우미 수족관은 유일한 심해생물 아쿠아리움으로 연중 300만명 정도 관람 츄라우미 수족관의 구조와 식당6. MICE 육성계획 스포츠 관련 행사 유치 ◦ 강원도 지역특성을 고려한 의료융합, 의료관광, 레저․스포츠, 농수산․식품 등 선도 산업분야의 국제행사 유치 확대 ※ MICE 산업은 정부가 신성장동력산업으로 적극 육성 추진 - 특히 동계올림픽 개최를 중심으로 동계스포츠 관련 국제경기대회, 국제회의, 관련 학술대회, 장비관련 전시회 등을 적극유치 ◦ 올림픽 관련 시설을 활용하여 셰계적인 스포츠관련 컨벤션인 스포츠어코드 컨 벤션 유치 ※ 스포츠어코드 컨벤션은 국제스포츠협회 관련 대표자 1,500명이 참석하여 6 일간 개최되며, 스포츠 융품 산업 박람회도 동반 개최 ●●43
 43.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동계스포츠 육성을 위한 기금 모금 및 후원재단 설립을 통해 동계스포츠 인구의 저변확대 및 전문선수 육성 추진 스포츠 관광 산업 육성 ◦ 강원도 자원을 활용하여 스포테인먼트 관련 분야 육성을 통한 관광 활성화 ※ 스포테인먼트는 Sports와 Entertainment의 합성어 - 강원도 자원을 활용하여 사계절 매력적인 주민주도형 스포테인먼트 활성화를 통해 지역 관광산업과 연계 추진 ◦ 동계올림픽 시설을 활용한 스포츠관광 상품개발을 통해 스포츠 관광산업 활성화 추진 - 경기장 사후활용 극대화를 통해 운영비 절감 및 지역 홍보․경제활성화 기여 ◦ 동계스포츠 전지훈련팀 유치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 - 경기장, 숙박 및 교통 등 인프라를 구축하고 관련 내용을 안내․홍보하는 시스템 구축 - 지자체, 조직위원회, 한국관광공사 등 관련 기관이 협력된 전지훈련 유치 전 문조직 구축 스포츠 관련 인프라 구축 및 전문선수 육성 ◦ 동계스포츠 종목의 전용 훈련시설인 스포츠트레이닝 센터 건립 추진 - 조성되는 동계 경기장과 연계한 다목적 트레이닝센터 건립을 통해 동계 스포츠 전문 선수 육성 기반 구축 - 동계스포츠의 육성을 위한 체육과학연구원 분원 및 체육대학 유치 추진 ※ 국내 빙상훈련장은 태릉에 있는 국제스케이트장이 유일 ◦ 설상, 빙상, 썰매 등 동계 스포츠 종목의 균형 발전을 통한 동계 스포츠 강국 으로 진입을 위한 비인기 종목 육성 7. 관광소권별 핵심 관광개발사업 ◦ 춘천거점 : 문화레저관광소권은 수도권과의 양호한 접근성을 활용하여 당일 및 체류형 관광상품과 관광자원 강화 ◦ 원주거점 : 전시컨벤션・휴양관광소권은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와, 혁신도시 조 성 및 지역특화산업인 첨단의료기기산업을 관광과 융합하여 신관광 창출 44 ●●
 44.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 속초거점 : 설악・해양관광소권은 설악산 국립공원 제척지역 및 관광지 내 민 자사업 유치로 풍부한 자원과 주변지역의 자원을 연계 개발하며 4계절 머물 수 있는 관광기반 확충 ◦ 강릉거점 : 전통문화・해양레저관광소권은 세계문화유산과 전통자원의 기능 강화, 석호․동굴 등 독특한 자연자원을 활용한 테마형 특화관광지 및 휴식・여가공간 확대 ◦ 정선거점 : 남부고원 관광소권은 동강, 석회암 지형, 민둥산 등 유명 생태관광 자원, 정선의 아리랑, 단종문화 유적 등 역사문화콘텐츠 보유로 치유, 명상 콘 텐츠와 결합하여 고원휴양관광지로 개발 구 분 사 업 명 규 모 춘천 경춘선 폐선철로 관광자원화 23㎞ 철원 한탄강 생태탐방순환로 5.1㎞ 서화산 관광자원 개발 271,000㎡ 문화레저 화천 생태관광모델사업-화천 DMZ 222㎞ 관광소권 파로호 만화예술타운 40,259㎡ 양구 수변생태공원 177,107㎡ 원주 관광・레저형 기업도시 유치 조성 12,000,000㎡ 홍천강 레포츠 체험로드 81㎞ 홍천 전시컨벤션・ 홍천9경 생태체험탐방로 37㎞ 휴양 관광소권 횡성 횡성호 주변복합테마길 27㎞ 평창 생태관광모델사업-평창 미탄마하 29,841㎡ 속초 설악 해맞이공원 테마파크 27040㎡ 인제 모험레포츠 지원단지 300,000㎡ 통일전망대 공원 143,851㎡ 설악・해양 북천하구 공원화 32,820㎡ 고성 관광소권 알프스스키장 654,693㎡ 해양심층수 체험과학관 2,000㎡ 설악동 관광자원화 - 양양 오색 관광자원화 - 강릉 녹색 기술 테마 파크 - 추암 나라사랑 테마파크 282,854㎡전통문화・해양레저 동해 무릉계곡 환상철굴 50,000㎡ 관광소권 천곡천연동굴 개발 41,190㎡ 삼척 유리조형 문화관광 테마파크 100,000㎡ 민둥산 종합생태관광지 300,000㎡ 정선 탄광지역 생활현장 보존복원(삼탄광산 아트밸리) 37,680㎡ 남부고원 태백 탄광지역 생활현장 보존복원(태백소도 광산역사 체험촌) 15,688㎡ 관광소권 탄광지역 생활현장 보존복원(영월 구래 숯마을) 30,000㎡ 영월 영월 단종대왕 유배길 44㎞ ●●45
 45.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문화계획 1. 현황과 진단 강원도 문화 인프라 조성 및 확충 시급 ◦ 도민의 문화욕구를 수용할 수 있는 생활친화적 문화공간의 지속적인 확충 필요 - 강원도 시․군 지역간 문화기반시설 편차를 해소하는 균형있는 문화 인프라 구축 - 강원도 공연시설 확충 추진 및 시․군 지역간 편차 해소 구분 합 계 공공도서관 등록박물관 등록미술관 문예회관 문화원 강원도 156(7.8%) 47 66 8 17 18 전국 1,979(100%) 759 655 145 192 228 구분 공연시설 공연장 대공연장 중공연장 소공연장 모름 강원도 37(4.7%) 45(4.8%) 4 22 16 3 전 국 772(100%) 987(100%) 78 387 444 58 재미있고 감동적인 문화콘텐츠 및 프로그램 발굴 ◦ 올림픽 개․폐막식, 성화봉송, 메달수상식 등 다양한 분야의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문화올림픽 실현 ◦ 강원도 문화산업 육성을 위한 기반 조성 성화 봉송 개・폐회식 메달 수여식 올림픽촌 환영식 글로벌 수준의 첨단 콘텐츠 산업 육성 ◦ 문화콘텐츠기술(Culture Technology, CT)의 활용이 극대화된 올림픽 개최 를 통해 강원도 콘텐츠 산업 기반 구축 - 2009년 강원도 콘텐츠 산업 : 매출액 0.6%, 종사자 1.6%, 관련기업 3.0% 점유 - 강원도에 관련 기관으로 강원정보문화진흥원과 하이원엔터테인먼트가 위치 ◦ 강원도 콘텐츠 관련분야 경쟁력 강화를 위해 R&D 기반 구축 및 기업육성 추진 46 ●●
 46.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강원도 가치와 품격을 높이는 “문화 브랜드 및 네트워크” 강화 ◦ 올림픽을 강원도 및 시․군을 전세계에 홍보하는 기회로 활용하기 위한 문화브 랜딩 전략 수립 - 강원도 및 시․군의 지역 정체성, 비전 등을 담은 대표브랜드, 슬로건, 캐릭터 등을 제작하여 상표로 등록하고, 지역홍보 및 마케팅에 활용2. 사업계획도 및 계량적 목표 문화 분야 사업계획도 문화 분야 목표 구분 2011년 2013년 2015년 2018년 2020년 공공박물관 54개 60개 65개 70개 80개 문화예술회관 15개 16개 19개 25개 35개 강원문화재단 육성기금 215억 230억 300억 450억 600억 문화재 지정 549개 580개 630개 670개 700개 문화 콘텐츠 산업 2,900억 3,800억 5,000억 7,000억 1조 ●●47
 47.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3. 고품격 하이터치의 강원도 “문화 인프라” 조성 대관령 문화클러스터 및 동계올림픽 공원 조성 ◦ 강원도를 방문한 관광객에게 강원도의 문화를 알리고 공유할 수 있는 공간 조 성 구축을 통해 문화 콘텐츠 육성기반 조성 - 강원도 향토사관, 테마박물관, 전통민속 공연․전시센터, 문화 창작마을, 영상 체험관 등 건립 ◦ 평창올림픽을 기념하고 국가 동계스포츠의 역사적 명소가 될 올림픽 공원조성 DMZ 사이드갤러리(벽화 프로젝트) 추진 ◦ 전쟁 역사와 생태 자원이 유지된 역사․생태 박물관인 DMZ에 국제적인 미술 프로젝트를 도입하여 글로벌 관광명소화 - 접경지역에 조성된 철원 평화문화광장, 고성 DMZ 박물관 등을 활용하여 국 제적 저명 예술가들이 참여하는 프로젝트 방식을 통해 올림픽 문화유산으로 활용함과 동시에 평화올림픽 구현 ※ 독일 베를린 장벽에 21개국 118명의 예술가가 참여하여 조성한 그린 이스 트 사이드 갤러리는 문화적 유산 및 관광 명소 베를린 장벽의 갤러리 48 ●●
 48.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국립국악원 유치 ◦ 전통문화의 보급 및 대중화에 기여할 국립지방국악원을 유치하여 전통공연예 술 진흥과 창조적 발전을 위한 인프라 조성 - 공연, 교육, 연수, 자료전시, 보존 등의 기능을 수행 - 문화체육관광부는 각 지역의 민속적 문 ※ 문화체육관광부는 각 지역의 민속적 무형예술 성격의 국립지방국악원 설치를 확대할 계획임. 현재 국립국악원(서울), 민속국악원(남원), 국립남도국악원 (진도), 국립부산국악원(부산) 조성 생활친화적 문화공간 확충 및 근대산업유산의 문화명소화 ◦ 지역주민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문화․예술 활동에 직접 참여하고 경험할 수 있 는 소규모 생활문화공간을 근린생활권에 조성해나감으로써 지역주민들의 일 상적 문화욕구 충족 및 문화향유 기회 확대 - 문화적으로 소외된 지역 및 계층을 대상으로 조성사업 우선 추진 ※ 문화체육관광부는 2004~2007년 동안 생활친화적 문화공간 조성사업을 추진지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총계개소 0 1 1 3 1 1 0 11 11 7 3 9 12 3 6 5 74비율 0.0 1.4 1.4 4.1 1.4 1.4 0.0 14.9 14.9 9.5 4.1 12.2 16.2 4.1 8.1 6.8 100 ◦ 역사 및 산업 유산을 재활용하여 우리사회의 경제, 문화, 사회 등의 역사적 흐름을 재조명할 수 있도록하는 추진 - 장소마케팅, 복합 문화예술공간, 지역민을 위한 문화명소 등으로 활용 채석장 호수 포천 아트밸리 조감도 ●●49
 49.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4. 세계인과 소통하는 강원도“문화 콘텐츠 및 프로그램” 개발 올림픽 문화 프로그램 수립 및 강원도 대표 콘텐츠 발굴 ◦ 올림픽 메인이벤트 및 관련기간 동안 수행되는 문화프로그램을 통해 강원도 및 대한민국을 알릴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추진 - 올림픽을 계기로 각종 글로벌 미디어에 소개되어 강원도 인지도 향상에 기여 ○ 올림픽의 4가지 메인이벤트 : ① 개・폐회식 ② 올림픽촌 환영식 ③ 메달수여식 ④ 올림픽 성화 봉송의식 ○ 올림픽헌장 규정 40에서“올림픽조직위원회는 최소한 올림픽촌이 개방되는 전 기간 동안에 개최할 문화프로그램을 마련하고, 관련 프로그램은 사전 승인을 위해 IOC 집 행위원회에 제출되어야 한다.”는 규정을 두고 있음 ○ 올림픽대회조직위원회(OCOG)는 올림픽 동계대회 개최 3년 전까지 사전 승인을 받을 수 있도록 IOC집행위원회에 제출할 문화이벤트프로그램을 구성해야함 *OCOG: Organizing Committee of the Olympic Games ◦ 강원도 및 대한민국의 문화를 알릴 수 있는 콘텐츠 개발 - 정선 아리랑, 강릉, 단오, 원주 감영, 철원 궁예 등의 역사문화를 활용한 대표 적인 문화예술 콘텐츠 발굴 및 개발 강원도 겨울축제 육성 ◦ 동계올림픽과 연계된 국내외 관광객들이 즐길 수 있는 겨울철 문화관광프로그램 육성 - 축제별 컨설팅 및 인프라 확충 등을 통한 집중 육성 구분 산천어축제 빙어축제 태백산눈축제 대관령눈꽃축제 최초 개최 2003 1998 1994 1993 행사기간(2010) 1.9-1.31 1.28-1.31 1.22-1.31 1.16-1.24 행사장소 화천 인제 태백 평창 끝나는 얼음벌판, 하늘아래 첫동네 얼지 않은 인정, 겨울동화 이야기 주제 끝나지 않는 세계를 여는 녹지 않는 추억 속으로의 초대 즐거움 눈꽃여행 전시행사 산천어체험 빙어천국 주제프로그램 놀이체험행사 눈・얼음체험 놀이천국 주요행사 참여프로그램 전통체험행사 문화/전시/이벤트 얼음천국 야간프로그램 공연 및 공식행사 사랑방마실 산촌천국 경연행사 문화관광축제 선정년도 2005 2004 2006 1999 50 ●●
 50.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관광객 禪문화 체험기회 확대 ◦ 대한민국의 사찰이 보유하고 있는 역사문화적 유산, 사찰문화의 매력, 사찰환 경의 휴양․경관적 매력 등을 복합적으로 융합한 종교관광 육성 - 템플스테이와 연계하여 명상센터 건립, 명상치유 및 선 문화체험 프로그램 운영5. 글로벌 수준의 “첨단 콘텐츠 산업” 기반 구축 및 육성 문화기술(CT) 산업 육성 및 지원강화 ◦ 동계올림픽 관련 행사에서 강원도 및 대한민국의 문화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강원도 문화기술의 우수성 홍보 - 소셜 TV, 증강현실, 가상비서, 3D 인쇄 등 첨단 분야 기술 개발을 통해 강 원도 문화콘텐츠 산업 육성기회로 활용 개회식 프로그램 명 화면 설명 흰색 천에 빔 프로젝트를 사례 #1 이용하여 산(山)의 모습을 - Peaks of endeavor 영상으로 표현 메인 스타디움 경기장 사례 #2 바닥에 빔 프로젝트를 - Who has seen the wind? 이용하여 들판의 영상을 표현 온라인 게임 개발을 통한 올림픽 홍보체계 수립 ◦ 평창올림픽의 국제적인 홍보를 위한 수단으로 온라인 게임을 활용하는 대책 마련 추진 벤쿠버동계올림픽 공식 미니게임 ●●51
 51.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강원 아트랜드 조성 ◦ 문화예술인에게 드라마, 영화, 에니메이션을 창작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 로써 강원도를 문화예술 거점으로 조성 - 강원 아트랜드 조성(춘천), 국제영화제 개최 및 강원영상위원회 설치, 예술인 창작공간 및 위락시설 조성을 통한 문화공간 공원화 등 6. 강원도 가치와 품격을 높이는 “문화브랜드 및 네트워크” 강화 강원도 브랜드&이미지 강화전략 ◦ 올림픽 개최를 기반으로 강원도의 역사, 문화, 예술, 산업,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강원도 브랜드&이미지를 프리미엄급으로 상승 시키는 전략 수립 - 강원도를 대표하는 캐츠프레이즈, 브랜드 슬로건, 캐릭터, 마스코트 등 마련 올림픽 문화바우처(문화 프랜드 쉽) 운동 확산 ◦ 문화바우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등의 도입을 통한 계층・지역간 문화 불균형 해소 및 문화향수권 신장 등 문화복지 향상 ◦ 강원도의 문화자산, 문화시설, 문화재능 등을 기부 또는 지원하는 문화 프랜 드쉽 운동 추진 ◦ 문화체육관광부는 평창올림픽 준비의 일환으로 3대 바우처사업을 확대․시행 ※ 강원도(강원문화재단)는 2011년 14.5억원을 투입하여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을 대상으로 문화바우처사업 시행(2010년대비 8.6% 증가) 52 ●●
 52.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문화바우처 22만명(27억원) 30만명(40억원) 47만명(67억원) 복지관광・여행바우처 4,554명(8억원) 4,746명(8억원) 11,300명(16억원) 스포츠바우처 9,402명(40억원) 13,678명(60억원)지방문예회관 특별프로그램 97개 지역/691회국립예술단체방방곡곡순회공원 51개 지역/123회 소외계층 문화순회 1,615회 소외지역학교 방문공연 463개교/2,656회 강원도 문화 인프라 확대◦ 원주의 대표적 문학공간인 박경리 문학공원의 브랜드화를 통해 문화 활성화 및 관광효과 제고◦ 강원도 문화의 세계화를 위해 시․군별 특성을 활용하여 유네스코 창조도시 가입 추진 - 춘천 미디어아트(애니메이션, 마임, 연극 등), 강릉 공예 및 민속예술(단오 제), 음식(순두부 등), 정선 공예 및 민속예술(정선아리랑), 영월 문학, 영화 (영화・사진 산업, 박물관고을, 김삿갓 등), 속초 음식(4계절 음식 꽃이 피는 먹거리 도시 육성) 등 ※ 유네스코 창조도시 네트워크는 7개 분야(문학, 민속공예 및 예술, 음악, 디자 인, 미디어아트, 음식, 영화)로 구분되고 2010년 현재 14개국 25개 도시가 지정. 우리나라는 서울시(디자인), 경기 이천시(민속공예 및 예술) 지정◦ 정선 아리랑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를 통한 국가 및 강 원도 문화적 이미지 제고 ※ 전세계 84개국 213건이 등록. 우리나라는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 강릉단 오제를 포함하여 11종목의 대표목록 등재 유산을 보유 ●●53
 53.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복지계획 1. 현황과 진단 저출산 고령화 및 복지대상 인구 증가에 따른 대응 필요 ◦ 급속한 저출산 고령화 현상으로 인해 도내 학령인구 및 생산인구 감소, 고령 인구 부양에 대한 사회경제적 부담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지역사회 활력 저하 우려 - 지속적인 출산율 저하에도 불구하고, 결혼과 자녀양육에 대한 사회․경제적 지원 미흡,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한 여건 조성 부족으로 저출산 경향 심화 -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증가로 자녀양육에 대한 수요가 다변화 증가되는데 비해 제도적 지원 미흡 ◦ 최근 강원도 기초생활수급자, 노인, 장애인 등 복지대상자의 수요가 증가 - 특히 군지역의 복지대상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음 사회복지시설의 지역적 편재에 따른 접근성 제고 필요 ◦ 대부분의 사회복지시설이 주요 도시에 분포하고, 접경지역과 남부내륙지역에 상대적으로 적게 분포하고 있음 - 종합사회복지관, 지역자활센터, 부랑인 및 노숙자시설 등 일반사회복지시설은 춘천, 원주에 주로 위치. 지역별 안배 및 접근성을 고려하여 추가 설치 추진 ◦ 강원도 전체로 확산 및 출신국이 다양해지는 다문화 가족을 고려한 정책수립 필요 54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