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행복한세상

PAPS(팝스) 기준표 총정리

by 날고싶은커피향 2025. 3. 26.
반응형

우리 아이들의 건강과 체력은 미래 사회의 근간입니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학생들의 체력 저하와 비만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교육부는 2009년부터 PAPS(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라는 학생건강체력평가제도를 도입했습니다. PAPS는 단순히 학생들의 체력을 측정하는 것을 넘어, 개개인의 체력 상태를 정확히 진단하고 맞춤형 운동 처방을 제공하는 종합적인 시스템입니다.

 

이 글에서는 PAPS의 기준표를 상세히 살펴보며, 각 측정 항목의 의미와 중요성, 그리고 학생들의 건강 증진을 위한 실질적인 조언들을 함께 제공하고자 합니다. PAPS는 단순한 평가 도구가 아닌, 우리 아이들의 건강한 성장을 돕는 나침반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학부모님들과 교육자들께서는 PAPS를 더 깊이 이해하고, 학생들의 건강 증진을 위해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알아가실 수 있을 것입니다.

 

자, 이제 우리 아이들의 건강한 미래를 위한 여정을 함께 시작해볼까요?

 

PAPS 개요 및 측정 종목

PAPS는 학생들의 체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크게 필수평가와 선택평가로 구분됩니다.

필수평가 항목

필수평가는 다음 5가지 체력 요인을 측정합니다:

  1. 심폐지구력
  2. 유연성
  3. 근력 및 근지구력
  4. 순발력
  5. 체지방

각 요인별로 다음과 같은 측정 종목이 있습니다:

  1. 심폐지구력
    • 왕복오래달리기(셔틀런)
    • 오래달리기/걷기
    • 스텝검사
  2. 유연성
    •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 종합 유연성 검사
  3. 근력 및 근지구력
    • 팔굽혀펴기
    • 윗몸말아올리기
    • 악력
  4. 순발력
    • 50m 달리기
    • 제자리멀리뛰기
  5. 체지방
    • 체질량지수(BMI)
    • 체지방률 측정

선택평가 항목

선택평가에는 다음과 같은 항목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비만평가
  • 심폐지구력 정밀평가
  • 자기신체평가
  • 자세평가

PAPS는 이러한 다양한 측정을 통해 학생들의 체력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개인별 맞춤 운동 처방을 제공합니다. 이는 단순한 체력 측정을 넘어, 학생들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는 종합적인 건강관리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APS(팝스) 기준표 총정리
PAPS(팝스) 기준표 총정리

 

심폐지구력 측정 및 기준표

심폐지구력은 PAPS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체력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는 심장과 폐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산소를 공급하고 이용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반영합니다.

왕복오래달리기(셔틀런) 기준표

왕복오래달리기, 일명 셔틀런은 심폐지구력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입니다. 다음은 남학생의 왕복오래달리기 기준표입니다:

학년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초5 64이상 47-63 31-46 16-30 15이하
초6 69이상 51-68 34-50 18-33 17이하
중1 74이상 55-73 37-54 20-36 19이하
중2 79이상 59-78 40-58 22-39 21이하
중3 83이상 62-82 42-61 23-41 22이하
고1 86이상 64-85 43-63 24-42 23이하
고2 88이상 66-87 45-65 25-44 24이하
고3 90이상 67-89 46-66 26-45 25이하

이 기준표를 통해 학생들의 심폐지구력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학교 2학년 학생이 70회를 달성했다면 2등급에 해당합니다.

심폐지구력 향상을 위한 조언

  1.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 주 3-5회, 30분 이상의 조깅, 수영, 자전거 타기 등을 권장합니다.
  2. 점진적 운동 강도 증가: 처음에는 가벼운 강도로 시작하여 점차 운동 시간과 강도를 늘려갑니다.
  3. 인터벌 트레이닝: 고강도와 저강도 운동을 번갈아 하는 방식으로, 심폐지구력 향상에 효과적입니다.
  4. 충분한 휴식과 영양 섭취: 운동 후 적절한 휴식과 균형 잡힌 영양 섭취가 중요합니다.
  5. 일상 생활 속 활동량 증가: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 이용하기, 가까운 거리는 걸어가기 등 일상에서의 작은 변화도 도움이 됩니다.

심폐지구력의 향상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꾸준하고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이는 학생들의 전반적인 건강 증진과 학업 능력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유연성 측정 및 기준표

유연성은 관절의 가동 범위를 나타내는 중요한 체력 요소입니다. 좋은 유연성은 부상 예방, 자세 개선, 운동 수행력 향상 등에 도움을 줍니다. PAPS에서는 주로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테스트를 통해 유연성을 측정합니다.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기준표 (남자)

학년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초5 11.0이상 7.0-10.9 3.0-6.9 -1.0-2.9 -1.1이하
초6 12.0이상 8.0-11.9 4.0-7.9 0.0-3.9 -0.1이하
중1 13.0이상 9.0-12.9 5.0-8.9 1.0-4.9 0.9이하
중2 14.0이상 10.0-13.9 6.0-9.9 2.0-5.9 1.9이하
중3 15.0이상 11.0-14.9 7.0-10.9 3.0-6.9 2.9이하
고1 16.0이상 12.0-15.9 8.0-11.9 4.0-7.9 3.9이하
고2 17.0이상 13.0-16.9 9.0-12.9 5.0-8.9 4.9이하
고3 18.0이상 14.0-17.9 10.0-13.9 6.0-9.9 5.9이하

이 기준표는 남학생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단위는 센티미터(cm)입니다. 예를 들어, 중학교 1학년 남학생이 11cm를 기록했다면 2등급에 해당합니다.

유연성 향상을 위한 조언

  1. 정기적인 스트레칭: 매일 10-15분씩 전신 스트레칭을 실시합니다. 특히 햄스트링, 허리, 어깨 등 주요 부위에 집중합니다.
  2. 요가 또는 필라테스: 이러한 운동은 전신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3. 동적 스트레칭: 운동 전에는 동적 스트레칭을 통해 몸을 서서히 풀어줍니다.
  4. 정적 스트레칭: 운동 후에는 정적 스트레칭을 통해 근육을 이완시킵니다.
  5. 점진적 접근: 무리하게 스트레칭하지 않고, 점진적으로 범위를 넓혀갑니다.
  6. 일상 생활 속 습관: 장시간 앉아있는 것을 피하고, 주기적으로 몸을 움직이고 스트레칭합니다.
  7. 충분한 수분 섭취: 적절한 수분 섭취는 근육과 관절의 유연성 유지에 도움을 줍니다.

유연성 향상은 단기간에 이루어지기 어렵습니다. 꾸준하고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이는 학생들의 전반적인 신체 기능 향상과 부상 예방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유연성 운동은 스트레스 해소와 정신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학업 스트레스가 많은 학생들에게 특히 권장됩니다.

 

PAPS(팝스) 기준표 총정리
PAPS(팝스) 기준표 총정리

근력 및 근지구력 측정 및 기준표

근력과 근지구력은 일상생활과 스포츠 활동에서 매우 중요한 체력 요소입니다. 근력은 근육이 발휘할 수 있는 최대의 힘을 의미하며, 근지구력은 근육이 오랫동안 힘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PAPS에서는 주로 '팔굽혀펴기'와 '윗몸말아올리기' 테스트를 통해 이를 측정합니다.

팔굽혀펴기 기준표 (남자)

학년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초5 37이상 30-36 23-29 16-22 15이하
초6 41이상 33-40 25-32 17-24 16이하
중1 44이상 35-43 26-34 17-25 16이하
중2 47이상 37-46 27-36 17-26 16이하
중3 50이상 39-49 28-38 17-27 16이하
고1 53이상 41-52 29-40 17-28 16이하
고2 56이상 43-55 30-42 17-29 16이하
고3 58이상 44-57 30-43 17-29 16이하

이 기준표는 남학생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단위는 회입니다. 예를 들어, 중학교 2학년 남학생이 40회를 기록했다면 2등급에 해당합니다.

윗몸말아올리기 기준표 (남자)

윗몸말아올리기는 복부 근력과 근지구력을 측정하는 중요한 테스트입니다. 다음은 남학생의 윗몸말아올리기 기준표입니다:

학년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초5 60이상 50-59 40-49 30-39 29이하
초6 64이상 53-63 42-52 31-41 30이하
중1 68이상 56-67 44-55 32-43 31이하
중2 72이상 59-71 46-58 33-45 32이하
중3 76이상 62-75 48-61 34-47 33이하
고1 79이상 64-78 49-63 34-48 33이하
고2 82이상 66-81 50-65 34-49 33이하
고3 85이상 68-84 51-67 34-50 33이하

근력 및 근지구력 향상을 위한 조언

  1. 점진적 부하 증가: 처음에는 가벼운 무게로 시작하여 점차 무게를 늘려갑니다.
  2. 복합 운동: 스쿼트, 데드리프트, 벤치프레스 등 여러 근육군을 동시에 사용하는 복합 운동을 실시합니다.
  3. 인터벌 트레이닝: 고강도와 저강도 운동을 번갈아 하는 방식으로, 근지구력 향상에 효과적입니다.
  4. 바디웨이트 운동: 특별한 장비 없이 자신의 체중을 이용한 운동(푸시업, 풀업, 스쿼트 등)을 실시합니다.
  5. 충분한 휴식과 영양 섭취: 근육의 성장과 회복을 위해 적절한 휴식과 단백질 섭취가 중요합니다.
  6. 다양한 운동 방법: 같은 근육군이라도 다양한 각도와 방법으로 운동하여 전면적인 근력 발달을 도모합니다.
  7. 정확한 자세: 부상 예방과 효과적인 근력 향상을 위해 정확한 자세로 운동합니다.

근력과 근지구력의 향상은 학생들의 일상생활 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자신감 증진과 체형 개선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적절한 근력 운동은 대사증후군 예방, 골밀도 증가 등 전반적인 건강 증진에도 큰 역할을 합니다.

 

PAPS(팝스) 기준표 총정리
PAPS(팝스) 기준표 총정리

순발력 측정 및 기준표

순발력은 짧은 시간 동안 최대의 힘을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이는 스포츠 활동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중요한 체력 요소입니다. PAPS에서는 주로 '50m 달리기'와 '제자리멀리뛰기' 테스트를 통해 순발력을 측정합니다.

50m 달리기 기준표 (남자)

학년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초5 8.2이하 8.3-8.9 9.0-9.6 9.7-10.3 10.4이상
초6 8.0이하 8.1-8.7 8.8-9.4 9.5-10.1 10.2이상
중1 7.8이하 7.9-8.5 8.6-9.2 9.3-9.9 10.0이상
중2 7.6이하 7.7-8.3 8.4-9.0 9.1-9.7 9.8이상
중3 7.4이하 7.5-8.1 8.2-8.8 8.9-9.5 9.6이상
고1 7.2이하 7.3-7.9 8.0-8.6 8.7-9.3 9.4이상
고2 7.1이하 7.2-7.8 7.9-8.5 8.6-9.2 9.3이상
고3 7.0이하 7.1-7.7 7.8-8.4 8.5-9.1 9.2이상

이 기준표는 남학생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단위는 초(秒)입니다. 예를 들어, 중학교 2학년 남학생이 8.0초를 기록했다면 2등급에 해당합니다.

제자리멀리뛰기 기준표 (남자)

제자리멀리뛰기는 하체의 순발력을 측정하는 중요한 테스트입니다. 다음은 남학생의 제자리멀리뛰기 기준표입니다:

학년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초5 190이상 175-189 160-174 145-159 144이하
초6 200이상 185-199 170-184 155-169 154이하
중1 210이상 195-209 180-194 165-179 164이하
중2 220이상 205-219 190-204 175-189 174이하
중3 230이상 215-229 200-214 185-199 184이하
고1 240이상 225-239 210-224 195-209 194이하
고2 245이상 230-244 215-229 200-214 199이하
고3 250이상 235-249 220-234 205-219 204이하

단위는 센티미터(cm)입니다.

순발력 향상을 위한 조언

  1. 플라이오메트릭 운동: 점프, 박스 점프, 깊이 뛰기 등의 운동을 통해 폭발적인 힘을 기를 수 있습니다.
  2. 스프린트 훈련: 짧은 거리를 최대 속도로 달리는 훈련을 실시합니다.
  3. 웨이트 트레이닝: 스쿼트, 데드리프트 등의 하체 운동을 통해 근력을 키웁니다.
  4. 코어 강화 운동: 플랭크, 크런치 등을 통해 코어 근육을 강화합니다.
  5. 유연성 운동: 스트레칭을 통해 근육의 탄성을 높입니다.
  6. 반응 속도 훈련: 다양한 자극에 빠르게 반응하는 훈련을 실시합니다.
  7. 적절한 휴식과 영양 섭취: 근육의 회복과 성장을 위해 충분한 휴식과 단백질 섭취가 중요합니다.

순발력의 향상은 다른 체력 요소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전반적인 체력 향상을 위한 균형 잡힌 운동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또한, 순발력 운동은 신경계의 발달을 촉진하여 반응 속도와 협응력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체지방 측정 및 기준표

체지방 측정은 학생들의 비만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PAPS에서는 주로 체질량지수(BMI)를 사용하여 체지방을 간접적으로 측정합니다. BMI는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입니다.

BMI 기준표 (남자)

학년 저체중 정상 과체중 비만
초5 16.9 이하 17.0-22.5 22.6-26.3 26.4 이상
초6 17.3 이하 17.4-23.2 23.3-27.1 27.2 이상
중1 17.8 이하 17.9-23.8 23.9-27.8 27.9 이상
중2 18.3 이하 18.4-24.3 24.4-28.4 28.5 이상
중3 18.8 이하 18.9-24.8 24.9-28.9 29.0 이상
고1 19.2 이하 19.3-25.1 25.2-29.3 29.4 이상
고2 19.6 이하 19.7-25.4 25.5-29.6 29.7 이상
고3 19.9 이하 20.0-25.6 25.7-29.8 29.9 이상

이 기준표는 남학생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중학교 2학년 남학생의 BMI가 23.0이라면 '정상' 범주에 해당합니다.

PAPS(팝스) 기준표 총정리
PAPS(팝스) 기준표 총정리

 

체지방 관리를 위한 조언

  1. 균형 잡힌 식단: 다양한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되, 과도한 당분과 지방 섭취를 줄입니다.
  2. 규칙적인 운동: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을 병행하여 실시합니다.
  3. 충분한 수분 섭취: 하루 8잔 이상의 물을 마십니다.
  4. 적절한 수면: 하루 7-9시간의 충분한 수면을 취합니다.
  5. 스트레스 관리: 과도한 스트레스는 체지방 축적을 촉진할 수 있으므로 적절히 관리합니다.
  6. 간식 조절: 건강한 간식을 선택하고, 야식을 피합니다.
  7. 규칙적인 식사: 하루 세 끼를 규칙적으로 먹되, 과식을 피합니다.

체지방 관리는 단순히 외모를 위한 것이 아닙니다. 적절한 체지방 유지는 대사증후군, 심혈관 질환, 당뇨병 등 각종 성인병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적정 체중 유지는 학생들의 자존감 향상과 학업 능력 증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결론: PAPS를 통한 건강한 미래 만들기

PAPS(학생건강체력평가제도)는 단순한 체력 측정 도구가 아닙니다. 이는 우리 학생들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한 종합적인 건강관리 시스템입니다. PAPS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체력 상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교사와 학부모들은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건강 증진을 위한 맞춤형 지도를 할 수 있습니다.

 

PAPS의 각 측정 항목 - 심폐지구력, 유연성, 근력 및 근지구력, 순발력, 체지방 - 은 모두 학생들의 전반적인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체력 요소들을 균형 있게 발달시키는 것은 학생들의 현재와 미래의 건강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PAPS를 통한 정기적인 체력 평가는 학생들에게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건강한 생활 습관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체력 향상을 위한 동기부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교육 현장에서는 PAPS 결과를 단순히 성적 평가의 도구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건강 증진을 위한 교육 자료로 활용해야 합니다. 학생 개개인의 체력 상태에 맞는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건강한 생활 습관의 중요성을 교육하는 데 PAPS 결과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PAPS는 학생들의 건강한 미래를 위한 첫걸음입니다. 학생들이 PAPS를 통해 자신의 건강에 관심을 갖고, 평생 건강의 기초를 다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건강한 학생이 건강한 사회를 만듭니다. PAPS를 통해 우리 모두가 더 건강하고 행복한 미래를 만들어 나갈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PAPS(팝스) 기준표 총정리
PAPS(팝스) 기준표 총정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