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A(Proof of Authority, 권위 증명)는 신원이 증명된, 평판이 좋은, 믿을 수 있는, 소수의 노드들을 선정하고 그들의 합의를 통해 트랜젝션을 처리하고 블록을 생성하며 이어나가는 블록체인입니다.
따라서 신원 증명과 평판에 대한 검증이 필수적이라는 점에서 일반적인 POS 기반의 퍼블릭 블록체인보다는 기업이나 산업용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더 적합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구축할 때 암호화폐를 통한 별도의 수수료 지불이나 블록 검증에 대한 보상을 지불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POS 기반의 퍼블릭 블록체인에 비해 POA를 선택할 확률이 더 높습니다.
다음으로 POS 기반의 퍼블릭 블록체인의 경우 암호화폐 보유량에 따라 블록체인 상에서의 권한이 커지고 보상을 받게 될 확률도 높아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점은 기업들이 블록체인을 자신들의 목적대로 자유롭게 이용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구축하는 데에는 POA가 더욱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끝으로 POS 퍼블릭 블록체인의 경우 많은 코인을 가진 홀더가 블록체인의 합의나 검증에 참여하지 않고 거래소로 코인을 옮긴 다음 거래 용도로만 코인을 활용한다든가 하는 일도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POA 방식에서는 '신원, 평판, 신뢰'가 가장 중요하므로 이런 일이 발생하기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네트워크의 관리 노드가 블록체인의 운영에 기여하지 않는, 평판이 떨어진 노드의 자격을 박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점에서도 POA가 POS에 비해 유리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정보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 예스24 IR 자료 (0) | 2020.10.31 |
---|---|
[정보] 아프리카TV - 기업설명회(IR) 개최 (0) | 2020.10.31 |
엄지손톱이 굵은세로줄로 갈라져서 나와(자라)요. 몸에 이상이 있는건가요? (0) | 2020.10.14 |
유상증자를 하면 주가가 떨어지던데 무슨 원리인가요? (0) | 2020.10.14 |
블록체인 시장 성장율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0) | 2019.11.22 |
이더리움이 pos로 전환하면 달라지는점은 무엇인가요? (0) | 2019.11.22 |
겨울왕국1 이랑 2랑이어지는내용인가요? (0) | 2019.11.21 |
일본하고 지소미아 종료됐다고 뉴스에서 봤는데 앞으로 무슨 일이 생기는 건가요? (0) | 2019.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