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

[정보] [메조미디어] 2017 상반기 업종 분석 리포트_유통

by 날고싶은커피향 2017. 9. 8.


메조미디어 2017년 상반기 유통 관련 업종의 광고 분석 자료 입니다.
내용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메조미디어] 2017 상반기 업종 분석 리포트_유통
1. 3 • 매체 광고비 산출 時 단일 매체 기준 광고비 분석 Data Source : PC Display Ad. Mobile Display Ad. 동영상 Ad. • 매체 광고비 산출 시, 네트워크 플랫폼이 있는 경우 단일 매체가 아닌 플랫폼 기준으로 합산 • 페이스북 Mobile 버전 광고 비용 산출 제한 • 대상 매체 : 유튜브, 페이스북, 네이버 tv캐스트, 다음 tv팟, 곰tv, 판도라tv, SBS, iMBC, KBS, 엠군, 풀빵닷컴 (광고주, 플랫폼 등 상세 분류 제공하지 않음) • 수집 내용 : 프리롤 광고 (페이스북은 뉴스피드 內 동영상 Sponsor Ad) * Research AD : 웹 사이트 및 앱에 게재된 인터넷 노출형 광고를 수집, 분류 및 통계 처리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광고비 Data 기준
2.  5 디지털 총 광고비 (PC, Mobile DA 및 동영상) 출처: Research AD 2016, 2017 데이터 기준 전년 동기 대비 19% 성장. PC DA 비중이 39%로 가장 높으나, Mobile DA/동영상 비중과 큰 차이 없이 고르게 분포 39% 28% 33% 전체 디지털 광고 비용 비교 (’16 vs. ’17) 광고 유형별 집행 비용 비교 (’16 vs. ’17) 46% 26% 28% ‘16 ‘17 5,125억 원 6,086억 원 19% ↑ 1-1. 디지털 광고비 현황 및 월별 광고비 추이 상반기 상반기 2016 상반기 2017 상반기
3.  6 유통 업종 디지털 총 광고비 (PC, Mobile DA 및 동영상) 유통 업종은 전년 동기 대비 20% 성장 전반적으로 Mobile DA 비중 높은 가운데, 전년 동기 대비 PC DA의 비중은 감소하고 Mobile과 동영상 비중 증가 18% 62% 20% 전체 디지털 광고 비용 비교 (’16 vs. ’17) 광고 유형별 집행 비용 비교 (’16 vs. ’17) 30% 55% 15% ‘16 ‘17 682억 원 820억 원 20% ↑ 출처: Research AD 2016, 2017 데이터 기준 1-1. 디지털 광고비 현황 및 월별 광고비 추이 2016 상반기 2017 상반기 상반기 상반기
4.  7 유통 세부 업종별 디지털 총 광고비 (PC, Mobile DA 및 동영상) 종합 전자상거래의 광고비 규모 가장 크며, 작년 동기 대비 전문 전자상거래 부문 광고비 큰 폭으로 증가 종합 전자 상거래는 Mobile DA, 전문 전자상거래와 대형유통은 동영상 광고 비중 높아짐 종합 전자상거래 전문 전자상거래 411 억 원 174 억 원 266 억 원 ’16 상반기 ’17 상반기 ’16 상반기 ’17 상반기 6 % 7 % 32 % 32 % 62 % 84 % 41 % 38 % 32 % 9 % 27 % 29 % 출처: Research AD 2016, 2017 데이터 기준 444 억 원 대형유통 70 억 원 ’16 상반기 ’17 상반기 51 % 31 %31 % 43 % 84 억 원 * 종합 전자상거래: 쿠팡, 11번가, Gsshop,G 마켓 등/ 전문 전자상거래: LF아울렛, 스타일난다 등/ 대형유통: 롯데마트, 면세점 등 ** 전체 유통업 내 중분류 중 광고비 규모 상위 3순위 기준 작성 18 % 26 % 1-1. 디지털 광고비 현황 및 월별 광고비 추이
5.  8 전년 동기 대비 6월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월별 광고비 높은 추이 나타냄 유통 업종 월별 총 집행 광고비 비교 100 89 102 140 126 125 154 136 137 141 143 108 20172016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단위: 억 원 출처: Research AD 2016, 2017 데이터 기준 1-1. 디지털 광고비 현황 및 월별 광고비 추이
6.  9 Mobile DA의 경우 대체로 광고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6월 하락폭 크게 나타남 동영상 광고는 지속적으로 소폭의 상승세 유지하다 6월에 다소 하락 유통 업종 2017년 월별 광고 형태별 집행 비용 비교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23 20 22 31 24 25 109 91 89 81 85 55 22 25 26 29 34 28 PC DA Mobile DA 동영상 출처: Research AD 2016, 2017 데이터 기준 단위: 억 원 1-1. 디지털 광고비 현황 및 월별 광고비 추이
7.  11 8.8 7.8 5.1 3.3 2.8 2.6 2.3 다음 네이버 네이트 동아닷컴 페이스북 줌 더팩트 전자신문 에뉴리닷컴 국민일보 PC DA는 네이트가 가장 큰 규모의 광고비를 집행했으며, 타 매체와 큰 격차를 보임 작년 동기 대비 네이트 크게 증가한 반면, 다음은 감소 유통 업종 PC DA Top 10 매체별 광고비 비교 2016 상반기 29.7 (15%) 98.5 (49%) 11.5 (6%) 2017 상반기 7.4 6.9 4.1 3.9 2.5 2.1 1.9 네이트 네이버 줌 다음 페이스북 동아닷컴 유튜브 경향신문 더팩트 리뷰스타 52.7 (36%) 8.6 (6%) 단위: 억 원 30.4 (21%)  1-2. 매체별 광고비 비교
8.  12 30.0 23.2 21.8 12.8 10.4 10.0 9.9 아담 네이버 엠클라우드에이피 카울리 애드몹 캐시슬라이드 카카오플러스친구 인모비 T-AD MAN+ Mobile DA는 엠클라우드에이피가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카울리 > 네이버 순 전년 동기 대비 엠클라우드에이피 광고비 집행 큰 폭으로 증가한 반면, 아담은 감소 유통 업종 Mobile DA Top 10 매체/플랫폼별 광고비 비교 2016 상반기 50.4 (13%) 136.4 (36%) 40.2 (11%) 2017 상반기 50.4 47.7 42.2 21.5 20.3 18.5 12.7 엠클라우드에이피 카울리 네이버 클릭스 인모비 MAN+ 아담 애드몹 캐시슬라이드 와이더플래닛 92.1 (18%) 78.1 (15%) 75.5 (15%) 단위: 억 원  1-2. 매체별 광고비 비교
9.  13 1-2. 매체별 광고비 비교 동영상 광고비는 페이스북, 유튜브가 타 매체 대비 압도적 작년 동기 대비 페이스북 동영상 광고가 크게 성장 7.6 3.0 2.7 1.6 1.4 0.4 0.1 페이스북 유튜브 네이버 다음 SBS 곰TV 판도라TV 엠군 풀빵 KBS 유통 업종 동영상 광고 Top 10 매체별 광고비 비교 2016 상반기 35.5 (34%) 41.2 (40%) 9.8 (9%) 2017 상반기 6.0 3.0 2.1 1.9 1.9 1.1 0.7 페이스북 유튜브 네이버 다음 곰TV imbc 엠군 판도라TV SBS 채널A 97.2 (59%) 37.9 (23%) 11.1 (7%)  단위: 억 원
10.  15 SK플래닛, 포워드벤처스엘엘씨, 이베이코리아가 타 매체와 큰 격차로 TOP3 작년 동기 대비 포워드벤처스엘엘씨(쿠팡)의 광고비 큰 폭으로 상승한 반면, 위메프 감소 1-3. 광고주별 광고비 비교 유통 업종 Top 10 광고주별 광고비 비교 (PC DA / Mobile DA 총합) 2016 상반기 2017 상반기 단위: 억 원 41.1 12.1 11.6 8.4 8.4 8.4 5.6 SK플래닛 위메프 이베이코리아 포워드벤처스엘엘씨 티켓몬스터 신세계 CJ오쇼핑 롯데하이마트 홈앤쇼핑 풀무원 22.1 14.0 13.3 10.1 9.9 8.6 7.8 SK플래닛 포워드벤처스엘엘씨 이베이코리아 삼성전자 롯데하이마트 CJ오쇼핑 퓨어리스 신세계 롯데호텔 GS홈쇼핑  80.8 (12%) 139.7 (21%) 83.3 (14%) 88.9 (15%) 114.7 (20%) 123.1 (19%)
 11.  16 유통 업종 PC DA Top 10 광고주별 광고비 비교 2016 상반기 2017 상반기 단위: 억 원 7.4 4.7 3.3 2.5 2.4 2.1 2.1 위메프 이베이코리아 SK플래닛 신세계 롯데하이마트 퓨어리스 더클래스효성 SK네트웍스 티켓몬스터 아이비엘 5.7 5.7 4.8 4.6 4.0 3.5 2.5 이베이코리아 삼성전자 퓨어리스 다홍앤지니프 롯데하이마트 롯데호텔 롯데물산 위메프 SK플래닛 이랜드리테일 PC DA는 이베이코리아가 올해 가장 큰 규모의 광고비 집행, 다음으로 삼성전자 > 퓨어리스 순 작년 상반기 대비 위메프의 PC DA 광고비 집행 크게 하락 10.1 (7%) 11.7 (8%) 18.8 (13%) 12.8 (6%) 21.6 (11%) 76.9 (38%)  1-3. 광고주별 광고비 비교
12.  17 유통 업종 Mobile DA Top 10 광고주별 광고비 비교 2016 상반기 2017 상반기 Moblie DA의 경우, SK플래닛이 가장 큰 규모로 집행 전년 동기 대비 포워드벤처스엘엘씨(쿠팡)의 Mobile DA 집행 규모 크게 상승 단위: 억 원 12.0 10.0 8.2 6.7 5.5 4.2 4.1 SK플래닛 이베이코리아 포워드벤처스엘엘씨 위메프 티켓몬스터 홈앤쇼핑 CJ오쇼핑 풀무원 신세계 SK엔카 12.8 10.4 8.5 8.3 7.6 6.7 6.6 SK플래닛 포워드벤처스엘엘씨 이베이코리아 CJ오쇼핑 삼성전자 신세계 롯데하이마트 GS홈쇼핑 LF그룹 SK엔카 62.0 (12%) 123.0 (24%) 136.2 (27%) 40.3 (11%) 61.7 (16%) 101.8 (27%)  1-3. 광고주별 광고비 비교
 13.  18 유통 업종 광고 형태별 Top 3 광고주 집행 매체 PC DA 단위: 억 원 Mobile DA 네이트 12.3 다음 2.8 줌 1.7 네이트 8.0 네이버 2.6 아이뉴스24 0.2 네이트 10.1 - - - - 인모비 41.2 MAN+ 32.4 엠클라우드에이피 17.9 엠클라우드에이피 69.3 카울리 39.7 에이스트레이더 4.6 네이버 25.9 카울리 9.4 클릭스 8.7 PC DA의 경우, 상대적으로 네이트 매체에 대한 집행 규모 압도적 Mobile DA는 SK플래닛 인모비, MAN+, 포워드벤처스엘엘씨 엠클라우드에이피, 카울리, 이베이 네이버에 집중 포워드벤처스 엘엘씨 1-3. 광고주별 광고비 비교
14.  20 1인 가구 중심 소비 확대 • 1인 가구 중심의 소비 확대가 이루어지며 소용량, 소포장 식품 및 1인 전용 가전 출시 봇물 • 직접 배송 받기 어려운 점을 감안한 편의점 이용 ‘픽업 서비스’ 운용 활발 나홀로족/소가구를 위한 ‘제품 다양화’ • 식품소포장/소용량 제품 증가 나홀로족/소가구를 위한 ‘배송 편의성 강화’ • 1인용 전자기기 다양화 • 편의점을 이용한 ‘픽업 서비스’의 확산 - 보관/처리가 쉽고 부담없이 즐길수 있는 소용량 제품 니즈 증가 - 다양한 카테고리에서 소용량 제품 출시 - 미니 가전이 트렌드로 부상으로 냉장고, 세탁기는 물론, 원액기, 와인셀러, 커피머신 등 제품 다양화 - 좁은 공간에서 사용하는 것을 감안하며 소형화, 소음 최소화 적용 - 1인가구, 맞벌이, 여성 등 안전과 부재상 문제로 직접 택배 수령의 어려움 해결 - 편의점 물류 거점 활용으로 접근성 증진, 배송 경쟁력과 고객 편의성 제고 - 편의점 입장에서도 픽업 수령자를 고객으로 확보 가능 • 티몬은 지난해, 11번가는 올해 5월 편의점 픽업 서비스 론칭 • 물품 수령지를 CU편의점으로 지정 후 수령 가능 • 티몬의 경우 편의점 반품 서비스도 운용 • 홈쇼핑에서 상품 주문 고객이 편의점 매장에서 원하는 시간에 상품 수령 • 서울 50개 지점 무인 택배함 서비스 ‘스마일박스’ 개시 • 올해안으로 1000개로 확대 예정 2. 17년 상반기 업종별 중요 이슈
15.  21 미세먼지가 몰고온 소비 변화 • 미세먼지로 인해 인식과 생활 습관이 변화하며 관련 소비 또한 발생 • 마스크, 생활가전, 미용, 건강 등 전년동기 대비 미세먼지 관련 제품 판매 급증 2. 17년 상반기 업종별 중요 이슈 미세먼지로 인한 생활상의 변화 • 정보와 대응 방안에 대한 관심 증가 미세먼지 관련 제품 현황 660 500 460 456 367 티몬 인증마스크 롯데하이마트 공기청정기 이마트 공기청정기 CU 마스크 옥션 휴대용캔산소 미세먼지 관련 제품 판매 급증 현황 단위: % * 17.5월 기준, 전년동기 대비 증가율 * 출처: 각 사, 머니투데이 - 외부 활동시 마스크 착용 보편화 - 일반/황사/방역 등 다양한 고기능성 제품 출시 확대 - 지난 3월부터 황사와 미세먼지 심화되면서 대선 정책의 주요 과제로 언급될 만큼 이슈화됨 - 미세먼지 예보, 통합대기 정보 제공 앱 등 관련 앱 이용 확대 • 생활 습관 변화 - 집안에서도 창문열기를 꺼리는 행태 증가 - 미세먼지가 심한 경우 실내 쇼핑몰 또는 야외 체류시간이 짧은 곳 선호 경향 높아짐 • 새로운 소비 문화 발생 - 실내 환경 정화나 청결 유지를 위한 제품 시장 확대 - 건강 관련 제품에 대한 관심과 소비 증가 - 면연력 증진, 건강 관련 건강기능식품 등에 관심 증가 - 모공 관리 세안기, 눈세척제, 일회용 렌즈 소비 확대 - 공기청정기 , 에어컨, 스팀청소기 등 실내 공기 정화, 청결 관련 제품에 대한 관심과 판매율 증가 마스크 제품류 생활 가전 미용/ 건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