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현대사 의식주 생활의 변천 관련 자료입니다.
내용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1. 근·현대 의식주 생활의 변천 13109323 김희라 13109352 유진주 2017 한국근현대사의이해
2. [1] 개항 이후 사회의 변화 [2] 일제 강점기의 사회 변화 [3] 현대 사회의 발전 목차
3. [1] 개항 이후 사회의 변화
4. 개항 衣 食 住 開港 열 개, 항구 항 서양의 문물과 제도 도입 서양의 생활문화가 우리의 생활 문화에 영향 전통적인 생활 모습의 변화
5. ▲ 대한제국 시기 계몽 지식인들, 1908년. : 양복 소개 상투를 자르고 단발 한복 대신 양복 양말과 구두 :일부 상류층과 개화 인사 :일반 남성 바지와 저고리 차림의 한복 저고리 위에 마고자와 조끼를 입는 풍습이 새로 생겨남
6. 전통적인 치마와 저고리 외출과 사회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두루마기를 외출복으로 입음 여성의 얼굴을 가리던 장옷과 쓰개치마 등이 점차 사라지고 양산이 대신 : 개화기 여성 서양 여 선교사의 양장을 본 떠 만듬 여학생의 교복이나 신교육을 받은 여성의 옷차림으로 자리 잡아감 : 개량 한복의 등장 ▲ 장옷과 쓰개치마
7. : 서양식 오찬을 즐기는 모습 궁중과 일부 상류층에는 커피와 홍차, 양과자와 빵같은 식품과 서양식 요리법, 식사 예절 등이 전해졌다. 남녀가 또는 양반과 상민이 한 상에서 음식을 먹을 수 없음 : 전통적인 식사 예절 서양 선교사가 들어오면서 한 자리에 둘러앉아 밥을 나눠 먹는 식사법 포크와 나이프 : 외국의 음식 문화 “ ▲ 서양식 오찬을 즐기는 모습
8. ▲ 청나라 조계지가 설치된 부산 초량 해안 일대. 청나라 영사관이 설치되고 청나라 사람들이 거주했다. 국제신문. 1910년. 청나라 상인 중 일부는 음식점을 차려 중국 요리와 만두, 찐빵 등을 만들어 팜 : 임오군란 이후 일본인은 초밥, 우동, 어묵, 단팥죽, 단무지, 청주 등 일본 음식 소개 : 청·일 전쟁 이후 하지만 외래 음식과의 접촉에 따른 식생활의 변화가 일반 서민의 음식까지 영향을 주지 않음 “ : 부산 속의 차이나 타운
9. : 주택 문화의 변화 서울과 부산, 인천, 원산 등 개항장에 각국의 공사관과 영사관 설치 서양인과 일본인이 살게되면서 서양식 건물과 일본식 주택이 나타남 관청이나 공공 건물, 학교 건물, 상업용 건물, 종교 건물 : 근대식 건물 신축 서양식 건축물의 이점을 살려 한옥과 양옥을 절충한 건물을 짓기 시작 : 1890년대 민간 가옥의 규모나 건축 양식에 제한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집을 지을 수 있었다. “ ▲ 명동 성당이 보이는 진고개.
10. [2] 일제 강점기의 사회의 변화
11. ▲1892~ 1970년대 이화학당 초기 학생들 (사진 = 이화박물관) 대부분의 여성은 쪽진 가르마머리 : 1910년대
12. 블라우스와 스커트 차림, 단발머리와 파마머리 스타킹과 하이힐은 낯선 풍경이 아니었다. “ 파마 머리 단발 머리
13. < 출처 : 매일신문, ‘일제 강점기 상징 몸빼… 태평양전쟁 전시 여성복, 2010-05-17> ▲ 일제 말 부인 표준복인 ‘몸빼’
14. < 출처 : 매일신문, ‘일제 강점기 상징 몸빼… 태평양전쟁 전시 여성복, 2010-05-17> ▲ 일제 말 부인 표준복인 ‘몸빼’
15. < 출처 : 매일신문, ‘일제 강점기 상징 몸빼… 태평양전쟁 전시 여성복, 2010-05-17> ▲ 일제 말 부인 표준복인 ‘몸빼’
16. < 출처 : 매일신문, ‘일제 강점기 상징 몸빼… 태평양전쟁 전시 여성복, 2010-05-17> ▲ 일제 말 부인 표준복인 ‘몸빼’
17. ▲국민복학생의 차림들 (1939) 전투모에 각반 착용 : 국방색 국민복 ▲ 각반 군복의 바지 끝자락과 군화가 마주치는 발목에 매는 것
18. 주택 문화의 변화 과자, 빵, 케이크, 카스텔라, 비프 스테이크, 수프, 아이스크림 등 서양 음식이 대중에게도 본격 소개되기 시작 그러나 서양 식품의 소비는 주로 도시의 상류층에 한정됨 : 1910년 이후 서민은 잡곡밥, 조밥, 수수밥을 먹거나 심지어는 소나무 속껍질로 만든 송기떡, 콩깻묵, 밀기울, 술찌기를 먹으면서 연명 : 일반 서민의 식생활 “형편이 사뭇 달랐을 뿐 아니라, 식량 사정이 매우 나빴다 산미 증식 계획 이후에 식량이 증산되었는데도 한국인 1인당 쌀 소비량은 갈수록 줄어들었고 여기에 중 ⋅일 전쟁 후에 쌀 공출제를 실시함에 따라 식량 부족 현상은 더욱 심각해졌다
19. ▲ 남산 일대의 일본식 주택(1920년대) ▲ 삼판동(현 후암동) 문화주택 (1930년대) 상류층의 문화 주택 중류층의 개량 한옥 중⋅하류층의 영단 주택 등장 : 1920년대 이후
20. ▲ 남산 일대의 일본식 주택(1920년대) : 주택 공간의 변화 사랑채 생략 대청마루에 유리문 설치 문간방이 생김 장식적 요소들이 가미된 도시형 상품 주택 : 1920년대 개량 한옥
21. ▲ 삼판동(현 후암동) 문화주택 (1930년대) : 주택 공간의 변화 도시민, 특히 서민의 주택난을 해결하려고 지은 일종의 국민 연립 주택 : 1940년대 영단 주택 2층 양옥 복도와 응접실, 침실, 아이들 방 등 개인의 독립적인 공간이 생김 : 1930년대 문화 주택 문화 주택, 개량 한옥 같은 새로운 건축 양식이 등장함에 따라 남녀의 주거 공간을 구분하던 전통적인 양반가의 주택과는 달리, 남녀가 같은 공간에서 생활하게 되었 다. 이는 남녀 사이의 차별이나 내외하던 관습이 그만큼 약화되었다. “
22. ▲ 거적을 둘러친 토막집(1930년 대) 맨땅 위에 자리를 깔고 짚이나 거적때기로 지붕과 출입구를 만든 원시적인 움막집 빈민이 토막집을 짓고 거주 : 서울 변두리 토막살이를 하는 사람은 1937년 서울(경성부) 총인구 70만여 명 중 15,000여 명에 달하였다. “
23. [3] 현대 사회의 발전
24. 일제의 강요로 입었던 국민복과 몸빼를 벗어 버리고 한복을 다시 착용. : 광복 후 의복의 변화 여성은 질기고 오래가는 나일론으로 만든 블라우스 착용 남성은 옷감이 부족하여 군복을 물들여 입음 : 6⋅25 전쟁 후 ▲ 서울 반도호텔(현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국 최초의 패션쇼. 1956년.
25. 남성은 작업복 스타일의 ‘재건복’ 여성은 ‘신생활복’을 입도록 권장 : 1961年 ‘신생활 재건 운동’ ▲ 재건복과 신생활복 착용 의무화. 1955년. 박정희 정권은 종래의 거추잡스럽고 비활동적인 생활을 개선한다면서 재건복 입기 운동 진행 “
26. ▲ 장발 단속. 플레어 스커트, 타이트 스커트, 맘보 바지 등 유행 : 1950년 대 치마 길이가 짧은 미니스커트와 바지 통이 넓은 판탈롱이 등장 : 1960년 대 양장은 미니, 맥시, 판탈롱, 핫팬츠 등 다양한 모델이 선보임 젊은 층 사이에서는 통기타와 팝송을 상징으로 하는 청년 문화의 복장으로 청바지와 장발 등이 크게 유행 : 1970년 대 : 여성의 복장 유행에 따라 변함 ▲ 미니스커트 단속.
27. 여성복이 맞춤복 시대에서 기성복 시대로 전환 : 1970년 대 남성복도 기성복 시대로 전환 캐주얼웨어가 큰 인기를 끌었고 스포츠, 레저용 의류의 소비도 크게 증가 컬러 TV의 영향으로 의복의 색상이 더 화려하고 다채로워짐 : 1980년 대 ▲ ‘응답하라 1988’의 복고 패션.
28. 광복 이후 인구의 빠른 증가와 6⋅25 전쟁 후 베이비 붐 등으로 식량난 미국에서 들여온 잉여 농산물은 밀가루가 주종을 이룸 정부는 분식, 보리 혼식 등을 장려하여 식량난을 해결하고자 함 : 식량난 주식인 쌀의 자급 달성 밀, 옥수수, 콩 등의 수입이 증가 : 1970년 대 중반 식생활의 서구화로 밀가루 음식 소비 증가 쌀 생산은 과잉 상태 가공 식품과 동물성 식품의 섭취량 증가 영양의 불균형, 영양 과잉 상태 초래 생활 습관병과 비만 등의 문제 야기 : 1980년 대 이후
29. 안전하고 건강한 식품을 찾는 사람이 증가 농산물에 남아 있는 농약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무공해 유기 농산물에 대한 관심도 증가 : 1990년 대
30. 휴전 이후, 파괴된 주택을 복구하고자 ‘재건 주택’이 지어짐 1964년 서울 마포에 아파트가 처음 조성되면서 아파트는 도시의 새로운 주거 형태로 등장 : 6⋅25 전쟁으로 인한 주택난 강남과 잠실 등지에 건설되면서 도시의 주거 문화도 빠르게 변화 반면에, 서울의 높은 지대와 변두리에 ‘달동네’라는 빈민촌이 생겨남 : 1970년 대 아파트 단지 건설 ▲ 도시 재개발로 철거 위기에 놓인 판자촌. 1970.▲ 잠실 지구의 아파트 분양 접수 인파. 1975.
31. 서울과 수도권 도시, 지방 대도시 곳곳에 아파트 단지가 건설 달동네나 판자촌도 재개발되어 아파트 단지로 탈바꿈 : 1980년 대 아파트 단지 건설 수도권으로 인구가 몰려들어 주택난이 심화 1990년대에 정부는 서울 주변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한 신도시 건설 이 후 지방 중소 도시까지 아파트가 공급되면서 아파트 거주자가 국민의 절반을 넘음 : 주택난 ▲ 1970~80년대 강남 개발.
'정보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 검색엔진 랭킹 상위 - scs(seo curation suite) 서비스 넥스트티 (0) | 2018.03.02 |
---|---|
[정보] 2018 글로벌 ICT 대전망 보고서 (0) | 2018.03.01 |
[정보] 2017 Business Platform Day (0) | 2018.03.01 |
[정보] 원하는 것을 얻는 지혜 김재춘(밝은별) (0) | 2018.03.01 |
[정보] 2017년 브랜디드 콘텐츠 디자인 트렌드와 전망 (0) | 2018.03.01 |
Though The Lens of an iPhone: Butterflies (0) | 2018.03.01 |
[정보] NDC 2017 키노트: 이은석 -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게임개발 (0) | 2018.02.28 |
[정보] [K-MOOC] 게임 개발자로 이끈 세가지 이야기 (0) | 2018.02.28 |